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410
한자 十一抗爭
영어의미역 Daegu October First Riot Incident
이칭/별칭 10·1사건,10월 폭동사건,10·1폭동,영남폭동,10·1소요,46년 가을 폭동,10월 폭동,추수 폭동,10월 항쟁,10월 인민항쟁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항쟁
발생(시작)연도/일시 1946년 10월 1일연표보기
발생(시작)장소 경상북도 고령군

[정의]

1946년 10월 경상북도 고령군민이 참가한 시위사건.

[개설]

10·1항쟁은 10·1사건, 10월 폭동사건, 10·1폭동, 영남폭동, 10·1소요, 46년 가을 폭동, 10월 폭동, 추수 폭동, 10월 항쟁, 10월 인민항쟁 따위에서 나타나듯 다양하게 불리고 있는 만큼 역사적 평가의 편차도 매우 크다.

[역사적 배경]

8·15광복 직후 경상북도의 사회 경제적인 상황이 10·1항쟁을 발생시켰다. 미군정의 토지 및 적산 문제, 식량 문제 등이 복합적인 사회적 혼란을 일으켜 대중의 고통과 불만을 가중시켰다. 특히 미군정의 식량 정책 실패로 쌀값이 폭등하고, 식량의 매점매석이 이루어져 굶어 죽는 사람이 늘어나는 등 대중의 불만은 극에 달하였다.

또한 해방 후 국가 건설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미군정의 통치, 국내 정치 세력의 분열 등이 겹치면서 정치적으로도 순탄하지 않은 국면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친일파의 미청산, 실업자 증가, 해외 귀국 동포의 생계와 정착 문제 등 각종 사회문제까지 겹쳐 사회 혼란은 더욱 가중되었다. 이에 미군정에게 정치적 타격을 가하기 위한 좌익의 파업이 항쟁으로 확대되었다. 이처럼 10·1항쟁은 해방 후 정치·사회·경제적 요인이 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일어났다.

[목적]

10·1항쟁은 해방 후 자주적 근대 민족 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을 중지시켜 민습 수습과 식량 문제 등 당면 문제를 해결하고, 통일 국가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자 한 사건이었다.

[발단]

10·1항쟁의 전개는 좌익의 ‘신전술’ 채택에 따른 9월 총파업에서 비롯되었다. 9월 23일 부산 철도 파업으로부터 시작된 9월 총파업은 다음 날인 9월 24일 대구의 철도 파업으로 이어졌다. 당시 대구에서는 철도 노조와 전매 노조의 영향력이 강력하였다. 대구의 총파업은 이들 노조가 소속되어 있는 조선노동조합대구평의회에 의해 주도되다가 9월 27일 남조선총파업대구시투쟁위원회[위원장 윤장혁]가 지도하였다. 9월 30일 대구의 우편국 노조, 출판 노조, 섬유산업 노조 등이 파업에 참여하였고, 경상북도에서도 파업이 줄을 이었다. 이에 9월 30일 대구와 경상북도에는 30여 개 업체와 4,000여 명의 노동자가 총파업에 참여하였다.

1946년 9월 30일부터 남조선총파업대구시투쟁위원회가 위치한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경북위원회 사무실[현 대구시민회관 주변] 앞에 노동자 및 시민들이 집결하기 시작하였다. 10월 1일 대구역에서 철도 노조가 주축이 된 노동자들의 총파업 시위가 벌어졌다. 그날 저녁 시위에 참여하던 시위 군중 1명이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10·1항쟁이 촉발되었다.

[경과]

미군이 경상북도 내 전역에 군정을 실시한 때는 1946년 11월 13일부터였다. 고령군은 달성군·성주군과 같이 미 제34군정대의 관할 아래 들어갔다. 이 시기 고령군수로 지역 출신 이홍직(李洪直)이 임명되었다. 고령군에서는 지역의 좌익계가 고령군청고령경찰서가 있는 시내 중심의 네거리에 집결하여 관공서를 위협하였다. 군중은 고령군청에 진입하여 양곡을 요구하며 시위를 하는 한편, 식량영단 고령출장소 앞에서도 창고에 쌓여 있는 쌀의 방출을 요구하였다. 또 고령경찰서 주위를 돌면서 경찰관에게 위협을 가하였다.

[결과]

10·1항쟁은 대구 지역의 시위가 마무리되면서 종료되었다. 고령군 비롯한 많은 지역에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는 발표 기관마다 서로 다른 실정이다. 제5관구 경상북도 경찰청은 경찰 피해만을 발표하였는데 사망자 31명, 부상자 30명, 행방불명 36명이었다. 조병옥 경무부장의 발표에서는 경찰 사망자 45명, 검거 2,700명이 제시되었다. 군정당국[M-G]의 발표에서는 경찰 사망자 43명, 행방불명 13명, 부상 61명, 시위대 체포자 수 3,153명이었다.

G-2의 경우 경찰[경찰 보조원 및 자경대원 포함] 인명 피해는 사망 80명, 행방불명 및 납치 145명, 부상 96명이었고, 시위대의 피해는 사망 48명, 부상 63명, 체포 1,503명이었다. 이처럼 4개 기관의 발표의 수치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시위대의 피해 규모가 아예 발표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의의와 평가]

10·1항쟁은 해방 정국에서 정치·사회·경제적 복합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으나, 대중의 사회 경제적 처지가 개선되지 않은 채 좌익의 영향력이 줄고 미군정과 우익의 세력은 상대적으로 커지는 정치적 관계를 낳았다. 이후 미국의 한국에 대한 정책이 확정되어 단독 선거와 단독정부의 수립으로 귀결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