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434
한자 陶磁器
영어음역 Dojagi
영어의미역 Ceramic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위은숙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도자기.

[개설]

도자기(陶磁器)는 원래 도기와 자기를 합친 것을 의미하지만 도기와 자기는 그 재료나 굽는 온도가 전혀 다르다. 도기는 도토[찰흙]를 재료로 하여 500~1,100도를 전후로 구워지는 그릇으로 대개 적갈색, 회백색, 회청색, 회흑색을 띠고 있다. 도기 중에는 물의 흡수 여부에 따라 경질 도기와 연질 도기로 나눌 수 있다. 삼국시대의 도기는 유약을 바르지 않았으나 조선시대의 도기인 옹기는 유약으로 잿물을 발라 구운 것이다.

자기는 자토(磁土)를 1,250~1,300도 이상의 열에서 구운 것이다. 자토로 가장 좋은 것이 고령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자기를 사기(砂器)라고도 하였다. 자기는 고려시대 청자로부터 시작되는데 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대체로 10세기 전후한 시기에 중국의 월주요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고 추정한다. 12세기에는 고려 독자의 상감청자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그러나 원 간섭기 이후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여 등장한 신흥 사대부가 검소하고 실용적이며 합리적인 생활을 추구하면서 도자기도 귀족적인 것보다는 튼튼하고 실용적인 것을 요구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여기다 14세기 말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으로 해안가에 위치한 가마터가 황폐화되고, 그릇의 대량 생산으로 질이 저하되면서 상감청자는 쇠퇴하게 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자기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전국 각처에 324개의 도요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전기 청자에서 백자로 이행해 가는 과도기에 가장 한국적이고 자유롭고 소박한 모양의 분청사기가 만들어졌으며, 16세기 후반 이후 조선백자의 발전을 볼 수 있다.

[도요지 현황]

고령 지역에는 양질의 고령토가 매장되어 있어서 여말선초 도자 수공업의 중심지 중 하나로, 경기도 광주에 버금가는 도자기 생산지라는 평가를 받았다. 명성에 걸맞게 타 지역에 비해 많은 가마가 존재했는데, 현재까지 고령 지역에서 밝혀진 가마터는 대략 122개소이다.

고령 지역에서 도자기 생산이 활발했던 지역은 운수면, 성산면, 쌍림면, 대가야읍, 우곡면으로, 이중 운수면에서 대략 34개의 가마터가 확인되었다. 봉평리 도요지는 대규모 분청사기 요지이며, 팔산리 도요지 역시 분청사기 요지이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 가 가다카도리야키[高取燒]의 시조가 된 팔산(八山)은 당시 팔산리 도요지에서 사기장으로 일했다고 알려져 있다.

성산면에는 24개의 가마터가 확인되고 있다. 성산면사부동 도요지기산동 도요지는 고려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도자기가 생산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 가 사쓰마야키[薩摩燒]의 시조가 된 김해씨(金海氏)는 성산 사부동 도요지에서 일을 하던 도공이었다고 한다.

쌍림면에는 2개의 가마터가 확인되는데, 주로 청자분청과 분청백자가 출토되고 있다. 대가야읍에는 33개의 가마터가 조사되었는데 청자, 분청사기, 백자가 골고루 출토되어 고려시대 이래 가마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우곡면에는 28개의 가마터가 조사되었으며, 이곳도 고려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계속적으로 도자기를 생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