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313
한자 洞祭
영어음역 Dongje
영어의미역 Village Ritual
이칭/별칭 마을굿,부락제,서낭제,산신제,거리제,동신제,당제,당산제,본향당제,촌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집필자 이창언

[정의]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기 위해 지냈던 마을 제사.

[개설]

동제는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드리는 마을 제사로서, 마을 사람들이 공동의 주체가 되어 행하게 된다. 동제는 특정 신분이나 집안의 것이 아니라 마을 사람 모두의 집단 제사이다.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동제를 부르는 이름은 마을굿, 부락제, 서낭제, 산신제, 거리제, 동신제, 동제, 당제, 당산제, 본향당제, 촌제 등으로 다양하다. 제의의 명칭이 암시하고 있듯이 동제는 대개 지역에 따라 신앙하는 대상도 다르고, 제의의 형태도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명칭은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달리 불리고 있으나, 공통의 의미는 마을 제사이다.

[신체]

고령 지역의 동제는 ‘산신’, ‘천신’, ‘인신’ 등의 다양한 대상을 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신체의 대부분은 나무이다. 대부분의 동제는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며, 일부 마을에서는 섣달 그믐날에 모시는 곳도 있다. 동제 당의 형태는 대부분 신수(神樹) 형태이고, 일부에서는 신수와 제단이 결합된 곳도 보인다. 또한 고령군 운수면 신간리 물한마을과 같이 돌무더기를 당의 형태로 삼은 곳도 일부 있다.

[절차]

대부분 동제는 제관과 축관의 선출로부터 시작해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리는 신격화 과정을 거치며, 유교식 절차에 따라 제를 올린다. 동제를 마친 후 정월 대보름 아침에는 주민들이 마을 회관에 모여 제사 음식을 음복하고, 줄다리기나 지신밟기 등의 놀이를 하며 흥겹게 보냈다. 또한 일부 마을에서는 동제가 끝난 후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먹는 샘이나 우물에서 용왕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현황]

고령군에서 과거 동제가 행해졌거나 현재 진행 중인 곳은 다음과 같다. 봉산리 조지 동제, 예리 예동 동제, 신곡리 동제, 양전2리 내동 동제, 본관리 옥산 당산제, 노2리 명곡 동제, 신간리 물한 동제, 용2리 반룡 동제, 송곡2리 삼동 동제, 답곡리 동제, 가륜1리 새밤 동제, 나정리 동제, 산주리 동제, 어곡리 동제, 연리 동제, 예곡리 동제, 용소리 동제, 오사리 동제, 인안리 동제, 저전리 동제, 장기리 동제, 평지리 평지 동제, 포리 동제 등이다.

[의의]

고령 지역 동제의 가장 주된 목적은 개인과 가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한 제의라는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신은 어느 특정 신분이나 집안을 애호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성원 모두를 균등하게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동신의 정신에 기반해 동제는 공동체 성원이 연대 의식을 더욱 강하게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