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무지치바위 전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473
한자 -傳說
영어의미역 Legend of Mujichi Ston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노리
집필자 남경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기우제행위담|암석유래담
주요 등장인물 마을 주민
관련지명 무지치바위
모티프 유형 무지치바위에서 비오기를 바라면서 지내는 제사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노동리에서 무지치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무지치바위 전설」은 덕곡면 노동리 앞산에 있는 두 개의 바위에서 주민들이 가뭄이 들면 비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는 기우담이자 ‘무제’를 지내는 바위라 하여 무지치바위로 명명되었다는 암석유래담이다.

[채록/수집상황]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박이정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편에 실려 있다. 이는 2000년 5월 11일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노리 173번지에 거주하는 주민 이원화[남, 76]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내용]

고령군 덕곡면 노동리의 앞산에는 마을 사람들이 ‘무지치바위’라고 부르는 집채만 한 바위가 두 개 있었다. 그 모양이 마치 어미 새가 주는 먹이를 받아먹기 위해 한껏 입을 벌린 새끼 새의 부리 같았다. 마을 사람들은 날이 심하게 가물 때 비를 간절히 바라는 마을 사람들의 마음을 나타내는 바위라 하여 조상 때부터 이 바위에서 기우제를 지내왔다.

무더운 여름철 날이 심하게 가물 때에는 무지치바위에서 ‘무제’를 지내기 위해 따로 3일을 정하여 덕곡면 주민 모두가 비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를 하였다. 붉은 흙이 잡귀를 쫓는다 하여 집집마다 산에서 붉은 흙을 퍼 와서 세 무더기로 나누어 마당 입구에 놓아두었으며,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새끼를 꼬아 대나무에 묶어 마당에 둘렀다고 한다. 정해진 기간 동안 마을 사람들이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여야 한다. 제를 지낼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되면 면장이 도복을 차려 입고 마을 사람들과 함께 산에 올라 ‘무지치바위’에 정성을 다해 기우제를 지내면 산에서 내려오는 길에는 어김없이 비가 왔다고 한다.

현재 이 바위는 국토 개발 사업의 일환인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마을 앞 2차선 도로 밑으로 묻혀 버렸다고 한다. 비록 지금은 바위가 땅 속에 묻혀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없지만 무지치바위덕곡면 마을 사람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 왔다. 무지치바위는 그 기이한 형상과 가뭄 때 제를 지내면 꼭 비를 내려준다는 영험함이 후대에까지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현재 덕곡면 마을 사람들에게도 마을의 정신적 상징으로 남아 있다.

[모티프 분석]

「무지치바위 전설」의 주요 모티프는 ‘무지치바위에서 비오기를 바라면서 지내는 제사’이다. 이 이야기는 덕곡면 노동리 마을에 가뭄이 심하게 들면 주민들이 무지치바위를 찾아가 정성껏 제사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내렸다고 하는 기우제행위담이다.

농경에 의존했던 전통 사회에서 기우제는 나라 전반의 중요한 사안이었으며, 그 형태도 다양하였다. 고령 지역에서는 유교적 제의 절차에 따른 헌공축원형과 영험이 있는 산 정상에서 불을 피우는 산상봉화형, 부녀자들이 냇가에서 물을 퍼내는 시늉을 하는 것이 기우제의 주된 방식이었다.

「무지치바위 전설」에 나타난 기우제는 고령 지역 기우제의 일반적인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붉은 흙을 퍼 와서 잡귀를 쫓는다든지,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새끼를 꼬아 대나무에 묶어 마당에 둘렀던 행위는 노동리 주민이 만들어 낸 일종의 ‘독특한 기우제 행위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