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C030104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용

나라를 위해 충(忠)을 실천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마을! 이는 ‘650년의 역사’, ‘고령박씨 집성촌’, ‘경치가 빼어난 무릉도원’으로부터 근년의 ‘우곡그린수박마을’에 더하여 도진마을의 정체성을 나타내 주는 또 하나의 별칭이다. 경상북도에서는 유일하게 충효마을로 지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유물의 문화재 지정, 도진충효관 건립, 도원공원 조성 등은 도진리 사람들의 땀의 결실로서 유·무형의 큰 자랑거리이자 귀중한 문화 자산이다.

[충효마을을 알리는 데 앞장서다]

도진리가 충효마을로 오늘날의 위상을 확보하는 데는 출향민을 포함한 전체 동민의 20여 년에 걸친 노력이 숨어 있다. 그 중에서도 선조들의 충효 정신을 널리 전승하고 있는 토박이 박돈헌[1948년생] 씨의 선조 현창 사업에 대한 남다른 애착과 헌신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현재 고령박씨 도진종친회 총무를 4년째 맡고 있으며, 도진충효관(桃津忠孝館) 관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박돈헌 씨는 1947년 도진리에서 2남 1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도진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대구로 나가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회사에 들어가 경리부장을 역임했다. 40대 중반이던 1991년 귀향 후 줄곧 도진리에서 농사를 지으면서 문중 일과 마을 이장, 고령군 새마을문고지부 및 자연보호고령군협의회 회장 등 마을과 지역 사회를 위한 여러 가지 일들에도 참여해 왔다. 특히 2009년 10월 뜻있는 20명의 회원과 함께 만든 고령문화역사전승회는 잘못 알려진 고령의 역사와 문화를 바로잡기 위한 것으로서 향후 대가야 문화 지킴이로서의 역할이 주목된다.

[조상들의 충효 행적을 발굴하기 위해 한문 공부를 하다]

박돈헌 씨가 지금까지 가장 애착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일은 고령박씨 도진종친회와 관련하여 조상을 행적을 밝히고 정신을 현창하는 사업이다. 여기에는 충효마을 지정과 관련 자료의 지방 문화재 지정, 종친회 총무 소임 수행, 고령박씨 종친회 재산 정비, 종중(宗中) 자녀 충효 교육 등이 포함된다. 박돈헌 씨에게는 모든 일이 중요하지만, 조상들의 충효 관련 행적을 상세하게 밝혀내어 이를 근거로 충효마을 지정을 위해 노력한 일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런데 도진리를 충효마을로 지정 받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조상들이 남긴 문집이나 분재기 등 한적(漢籍) 기록물을 이해하기 위한 해독 능력이 필요했다. “고향 들어올 때까지만 해도 하나도 몰랐지요. 조상들을 알기 위해 공부했지요.”라는 말처럼, 박돈헌 씨는 한문 공부부터 시작했다. 도진 사람으로 당시 효성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박은용[작고] 교수와 대구에 거주하는 선비 박태규[당질] 씨의 자문을 받아 가며 조상들의 충효 행적을 발굴, 정리하고 출향민의 협조를 바탕으로 도진마을회관 건립 부지도 넓혀 나갔다. 이런 일들은 그가 8년 동안 이장으로 일하던 기간[1992~1998]에 이루어졌다. 1995~1996년 동안은 충효마을 지정을 위해 경상북도 지사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자체 사업 자금을 마련하는 등 집중적인 노력이 투입되었다.

도진리 사람들은 여진토벌과 삼포왜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및 기미년 3·1독립 운동을 비롯한 광복 운동과 6·25전쟁 등 나라가 위기에 빠질 때마다 분연히 일어나 충절의 기개를 떨쳤다. 때로는 나라의 녹봉(祿俸)을 받는 군관으로 전과를 올리고, 때로는 자연인의 기개로 의병 활동과 독립 만세 운동을 펼쳤다. 충효일본(忠孝一本)이란 말처럼, 이는 백행의 근본인 효(孝)의 바탕에서 가능한 것으로서 누대에 걸친 효행 사실 또한 여러 기록물과 효행 열녀비 등으로 확인된다.

[선조들의 충효 정신을 알리는 게 죽을 때까지 사명이지]

박돈헌 씨는 충효마을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와 같은 선조들의 행적을 발굴, 정리하여 경상북도 내 20개 마을과 함께 충효마을 지정을 신청했다. 그리하여 여섯 명의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2단계에 걸친 엄정한 심사가 이루어졌다. 1차로 도진리를 포함한 경주 왜룡마을, 구미 해평마을, 영주 읍내마을 등 8개 마을로 압축되고, 다시 2차 심사를 통해 1997년 7월 13일 도진리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그리하여 충효를 실천한 선조들의 배향 재실을 재정비하고 충효마을 표석을 세웠으며, 관련 자료 17점을 경상북도 지정 문화재로 등재할 수 있었다.

도진리 사람들은 선조들의 이러한 충효 정신을 더 널리 알리고 선양하기 위해 2005년에는 도진충효관을 건립했다.

이곳에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창의(倡義) 기록과 문집, 분재기(分財記), 교지(敎旨), 문연서원 관련 유물, 무공 훈장, 참전 기록, 효행 청려 정문(孝行 請閭 呈文), 효행 표창 등 선조들의 충효 관련 자료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도진리 사람들은 현재 도진리 3·1독립 만세 마을 지정과 문중 항쟁 기념비 건립 및 연례적인 독립 만세 퍼포먼스 개최 등도 동일한 맥락에서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도진 사람들의 충효 정신이 도진 강물[회천]을 따라 낙동강으로 흘러 세상과 합류할 날도 머잖은 것 같다.

[정보제공]

  • •  박돈헌(남, 1948년생, 우곡면 도진리 주민, 도진충효관 관장)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