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702
한자 南皐亭所藏冊板
영어의미역 Book-printing Brocks of Namgojeong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17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책판
제작시기/일시 1930년연표보기
재질 나무
소장처 남고정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173 지도보기
소유자 고령박씨 학암공파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남고정에 있는 일제강점기 책판.

[개설]

남고정에 보관된 한와와(閒臥窩) 박세정(朴世貞)[1667~1732]의 시문집 판목으로서 모두 34판이다. 남고정남고(南皐) 박응형(朴應衡)[1605~1658]의 학문과 충절을 기려 지역 사림과 후손들이 뜻을 모아 도진리에 영건(營建)하였다가, 1963년 신축한 건물로서 『한와와문집』 책판이 보관되어 있다. 박응형의 자는 첨백(詹伯), 호는 남고(南皐), 본관은 고령이다. 박응형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이 적에게 항복하자 두문자정(杜門自靖)하며, 그 심정을 담은 「충분시(忠憤詩)」를 지었고, 명나라가 망한 후에도 숭정력과 숭정연호를 쓰며 스스로 숭정처사(崇禎處士)라 하였다. 문집으로는 『남고집』 6권이 있다.

[형태]

남고정에 소장된 『한와와문집』 책판의 판각 사항을 보면, 크기는 가로 47.2㎝, 세로 19.3㎝, 폭 2.2㎝이며, 인간 연도는 1930년이다. 판심제는 ‘한와와집(閒臥窩集)’이라고 되어 있으며,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 어미(魚尾)는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행관은 반엽(半葉) 10행 18자, 상하비선은 백구(白口)이다.

마구리는 있으며, 서문은 안동 지역 항일 의병장이었던 척암(拓菴) 김도화(金道和)[1815~1912]가 썼으며, 발문은 한말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였던 영덕의 이수악(李壽岳)[1845~1927]과 박세정의 6대손 박영학(朴英鶴)이 썼다. 남고정 소장 책판은 총 34판으로 결락본 없이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