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603
한자 東海防護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나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10년연표보기 - 동해방호소 설치
소재지 동해방호소 - 서귀포시 대포동 368번지 지도보기
성격 방호소|방어유적

[정의]

서귀포시 대포동에 있었던,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조선 시대 대정현 동쪽의 방어 요충지에 설치된 군대의 경계 감시소.

[개설]

제주도는 왜구의 침입을 방어할 목적으로 김녕·조천·도근천·애월·명월·차귀·동해·서귀·수산 방호소 등 9개의 방호소가 설치되었으며, 이중 동해방호소대정현 동부 지역을 감시하는 방어유적으로 원래 강정마을에 있었던 가래방호소(加來防護所)를 1510년에 이 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변천]

1510년(중종 5년) 당시 제주목사였던 장림(張琳)에 의해 강정마을에 있던 가래방호소가 동해포로 옮겨졌다. 『중종실록』에는 중종 5년 9월 16일 제주목사 장림은,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와서 방어 시설에 대한 느낀 바를 조정에 보고하면서 “ .... 정의현의 수산포와 서귀포, 그리고 대정현의 차귀포와 동해포(東海浦)는 적들의 배가 머물 만 한 곳으로 의심이 됩니다. 때문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방호소에 육군 1려(旅)를 나누고 2교대로 나누어 군관을 보내 방어토록 하였습니다. 수산과 차귀포에는 옛 성을 고쳤고, 함정과 말뚝을 세워 침입에 방비하였습니다만, 나머지 7포는 원래부터 성(城)이 없었으므로 방어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함경도나 평안도의 예에 따라 성을 쌓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각각 성 근처에 사는 백성들을 다른 곳으로 이주시켜 농사를 지으면서 출입케 하면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김상헌『남사록(南槎綠)』[1601년]에는 “10월 16일 동해방호소에 들려 점심을 하고 나서 물품을 점검하였다. 성 둘레 280척, 높이 8척, 서쪽과 남쪽에 문이 있고, 옛 성은 허물어져서 목사 성윤문 때 개축하였으며, 초창(草創)이므로 수비군이 없다.”라고 기록되어져 있으며, 이원진『탐라지(耽羅志)』[1653년]에는 “동해방호소에는 객사와 군기고가 있는데, 정덕 경오년(1510년)에 가래방호소를 여기로 옮겼다. 차귀성에는 영차 1명이 있으나, 동해방호소에는 단지 대정 1인만 근무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동해성은 대정현 동쪽 45리에 있으며, 석축으로 주위가 500척이요 높이는 8척이며 성안에 샘물이 있다”고 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샘이란 '동이수‘[동해수]를 가리킨다.

동해방호소 동남쪽 ‘개오름’[구산봉]에는 봉수대가 있었다. 봉수대는 오름 정상에 만들었는데, 형태는 흙이나 바위로 타원형의 둑을 쌓고 중앙에 봉화를 올릴 수 있도록 대를 구축하여 외적의 침입 시 봉화나 횃불로 신호하는 통신 감시 체계였다. 구산봉수는 동으로 삼매봉수[서귀포시 삼매봉], 서로는 호산봉수[안덕면 월라봉]와 교신했다.

[위치]

동해방호소「제주삼현도(濟州三縣圖)」[1700년대], 「탐라지도병서(耽羅地圖幷序)」[1709년], 「대정군지도」[1872년] 등을 보면 대포 지역 중산간 지역에 있었다. 대포동 368번지 일대로 회수마을과 하원마을의 중간 지점에 있었다.

[현황]

2012년 현재 방호소나 동해성의 흔적은 찾을 수가 없으나, 당시 주둔 군사 및 지역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했던 ‘동수(東水)’[대포동 364번지]라는 샘물은 아직도 남아 있다. 하지만 샘 주변이 모두 매립되어 인근 과수원의 농업용수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7.03 위치 오류 수정 서귀포시 강정에 있는 -> 서귀포시 대포동에 있던
이용자 의견
대** 동해방호소는 강정에 있었던 가래방호소를 서귀포시 대포동 중산간지역으로 옮긴 것이다. 따라서 지역은 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포동으로 수정해야 한다. 동해방호소의 위치는 동수 용천수가 솟아나는 그 위쪽 구릉지대로 대포동 중산간 지역에 해당한다. 이 일대에 대포상동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4.3사건 때 토벌대에 의해 소개되어 사라져 버렸다.
  • 답변
  • 디지털서귀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의견을 검토하여 해당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8.07.0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