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042
한자 口碑傳承
영어의미역 The Transmission of Literature by Spoken Langu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집필자 이동월

[정의]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말로 전해 내려오는 민간 문화의 총체.

[개설]

구비전승(口碑傳承)은 비석에 새긴 것처럼 유형화(類型化)되어 오래도록 전하여 온 말이라는 뜻이다. 언어로 전승되는 구비전승 가운데는 언어 예술적 성격을 갖는 것과 속신과 욕설 그리고 민간요법처럼 언어 예술로 볼 수 없는 것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언어 예술적 성격을 갖는 것이 바로 구비문학이다. 지금까지 구비전승이라고 하면 대개 구비문학에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비문학은 말로 된 것이며, 말로 나타내며, 말로 전승되기에 공동 창작의 문학이며 보편적·민중적 문학이다. 그래서 구비문학의 범위는 광범위하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설화, 민요를 비롯하여 판소리, 민속극, 무가, 속담, 수수께끼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고령 지역에서도 다양한 구비문학이 전승되고 있는데, 설화와 민요가 그 중심이 된다.

[설화]

고령 지역은 대가야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설화가 다양하며 풍부한 편이다.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의 셋으로 구분하는 것이 세계적인 통례이다.

1. 신화

대가야의 건국 신화인 「정견모주설(正見母主說)」과 일본의 건국 신화와 관련된 「고천원(高天原)」이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전하고 있다. 「정견모주설」은 가야산의 산신인 정견모주가 천신 이비가(夷毘訶)에게 감응되어 두 아들을 낳았고, 첫째 아들 뇌질주일(腦窒朱日)은 후에 대가야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이 되고, 둘째 아들 뇌질청예(腦窒靑裔)는 김해로 가서 금관가야의 수로왕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정견모주설」은 대가야의 독특한 건국 신화이면서 가야 지방의 건국 신화로 잘 알려진 『삼국유사(三國遺事)』「가락국기」의 수로왕 이야기와는 다른 설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 전설

고령 지역의 설화 중 전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구체적 증거물을 상정하는 지역전설이나 역사적 인물의 행적과 관련된 인물전설의 경우 매우 강한 지역성을 띤다. 고령 지역에서는 마을, 산, 물, 나무, 바위 등 자연물과 관련된 자연전설이 많다. 고령 지역이 가야산, 미숭산, 만대산 등의 큰 산에 둘러 싸여 있고, 대부분의 마을이 조그마한 봉우리를 거느리고 있으며, 소가천, 대가천, 안림천, 회천 등 하천이 많은 것과 연관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 지역에서 자연전설 다음은 인물전설이다. 이성계(李成桂)[1335~1408]에 저항한 고려 이미숭(李美崇) 장군, 임진왜란 때 왜적에 맞서 싸운 송암(松庵) 김면(金沔)[1541~1593] 장군의 이야기도 많이 전하며, 대가야 사람인 우륵(于勒)에 관한 이야기도 고령에서만 전한다. 효자·열녀 전설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가운데도 효행을 실천해 복을 받는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신앙에 관련되는 전설은 묘 자리, 명당, 절 터 등에 관련된 이야기들이다. 그런가 하면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원혼을 달래거나 노한 산신을 달래는 제사를 통해 마을이나 개인의 안녕을 얻게 되는 이야기도 전한다.

3. 민담

설화의 한 갈래로서의 민담은 흥미 위주로 전승되는 옛날이야기로 규정될 수 있다. 고령 지역에서 전하는 민담은 많지 않다. 대가야의 고도로서 유교적 분위기 속에 보수적인 미풍양속을 선호한 지역 정서가 흥미 위주의 민담을 선호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민요]

민요는 각국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대개 기능 중심으로 분류된다. 즉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로 구분되고, 그 나머지는 비기능요에 포함된다.

1. 노동요

노동요는 민중들이 일을 하면서 노동의 수고를 덜고 노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고령 지역의 노동요로는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논매는 소리」, 「보리타작 소리」, 「밭매는 소리」, 「어사용」 등이 전한다. 논농사와 밭농사 관련 노동요가 발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중환(李重煥)[1690~1756]의 『택리지(擇里志)』에서도 경상 우도, 즉 낙동강 서안 지역은 땅이 비옥하며 특히 가야천 유역의 성주, 고령, 합천과 지리산 주변의 진주, 남원 등은 한반도 안에서 가장 비옥한 땅으로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가장 높으며 농업용수가 풍부해서 가뭄 피해를 겪지 않는다 하였다. 그만큼 고령은 농업이 일찍 발달한 곳이며, 이에 수반하는 논농사, 밭농사, 잠업이 발달하여 논농사, 밭농사 관련 노동요가 자연히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2. 의식요

의식요는 민중들이 치르는 의식의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고령 지역의 의식요로는 「지신밟는 소리」, 「액막이 타령」, 「상여 소리」, 「달구 소리」 등이 있다.

「지신밟는 소리」는 지신을 눌려 액을 막는 노래로 정월 대보름에 마을을 돌며 부른다. 고령에서 전하는 「지신밟는 소리」는 가야산 여신 정견모주가 천신인 이비가와 짝이 되어 대가야 뇌질주일과 김해 금관가야 뇌질청예를 낳았다는 것, 그리고 두 천신·산신이 힘을 합하여 천지정기를 모아 산천을 아름답게 만들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액막이 타령」은 살이 든 사람의 액을 막아달라는 노래로, 고령에서는 「성주풀이 노래」라고도 한다. 「상여 소리」는 죽음에 대한 안타까움과 산 자가 취해야 할 삶의 자세, 특히 유교적 차원에서의 행동 철학을 망자의 입을 통해 드러내는 소리이다. 고령의 「상여 소리」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특이한 점이 없다. 「달구 소리」는 기능상 「묘다지는 소리」이다.

3. 유희요

유희요는 놀이로써, 또는 놀이의 진행을 돕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고령에서 전해지는 유희요로는 「등금쟁이 타령」, 「각설이 타령」이 있지만 유희요가 희소한 편이다. 「등금쟁이 타령」은 보부상들이 주로 불렀다. 고령에서 남원 가는 길은 남쪽 지역, 혹은 중국, 일본과의 무역을 위한 통로가 대가야 시절부터 열려 있었다. 이 길을 따라 수많은 소리가 왕래했을 것이고, 그 소리의 전파 역할을 부보상과 같은 상인이 맡아 불렀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