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동나루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273
영어음역 Dodongnaruteo
영어의미역 Dodong Ferry
분야 역사/전통 시대,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황상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나루터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 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에 있던 나루터.

[개설]

도동나루터가 위치한 구곡리(九谷里)는 올밧골, 올밤골, 건진골, 월당골, 진방골, 밋골, 문안골, 골안골, 새안골 등의 아홉 골짜기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구실’ 또는 ‘구곡’이라 불렀으며, 도동나루라는 이름은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 낙동강 건너편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도동나루는 옥도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데, 옥도는 삼면이 낙동강 물이 휘감아 돌아 흐르기 때문에 마치 섬처럼 고립된 곳으로 조선 초기에 역모를 한 죄인 조반의 귀양지로 지정된 곳이므로 옥섬, 옥심이라고도 불렸다. 옛날 벼슬아치들이 귀양살이하던 옥섬[玉島]과 잣나무가 많았던 잣나무산[栢山]이 있어 옥섬의 ‘옥’자와 ‘잣뫼’의 한문 표기인 ‘백산(栢山)’의 ‘산’을 따서 옥산(玉山)으로 이름 불리어진 고장이다.

[변천]

도동나루터낙동강을 건너는 다리가 없었던 시절 고령 일대와 현풍 일대 주민들의 왕래를 위해 만들어진 나루이다. 도동나루를 통해 수박과 참외 등의 농산물을 실어 날랐으며, 또한 고령 일대의 주민들이 낙동강을 건너 현풍장이나 논공으로 이동하였다. 농산물을 실어 나르던 도동나루는 이 일대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컸다고 전해진다. 도동나루 뒤에는 우물이 있어 강을 건너다니면서 목을 축이기도 하였으며, 나루 옆에 주막이 있었는데 술맛이 좋아 술에 취한 사람들이 보리밭에 누워 잠을 자기도 하였다고 한다.

1905년(고종 42) 경부선 철도 개통 후 도동나루는 대구, 창녕, 부산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화물을 철도편에 빼앗겨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의 예전과 같은 관계는 끊어지게 되었다. 주로 도동나루를 이용해 고령 일대와 현풍 일대의 주민들이 이동하였지만 나루터 부근에 대규모 다리가 건설됨에 따라 도동나루의 기능이 중단된 것이다.

[현황]

2010년 현재 도동나루터의 흔적은 사라져 찾아볼 수 없으며, 나루터가 있던 자리 뒤쪽으로 도동서원(道東書院)이 자리하고 있다.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1454~1504]과 외증손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를 향사하는 사액 서원인 도동서원은 경사진 지형을 이용해 문루와 강당, 사당 등의 주요 건물을 배치하였는데, 전체적인 구도와 배치 형식은 서원 건축의 백미로 알려져 있다. 도동서원에서 내려다보면 멀리 낙동강이 굽이쳐 흐르고, 도동나루가 있었다는 이야기만 전해 내려오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