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0479 |
---|---|
한자 | 盤雲里古墳群 |
영어의미역 | Ancient Tombs in Banun-ri |
이칭/별칭 | 반운리고분군의 ①돌덧널무덤군과 ②덧널무덤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반운리 산 36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고대/삼국 시대/가야,고대/삼국 시대/신라 |
집필자 | 조영현 |
성격 | 고분 |
---|---|
양식 | 수혈식 석곽묘[구덩식 돌덧널무덤]|목곽묘[덧널무덤] |
건립시기/연도 | 6세기[반운리 고분군(1)]|2~4세기[반운리 고분군(2)]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반운리 산 36
![]()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반운리에 있는 삼한시대와 대가야시대의 고분군.
반운리 고분군①은 대가야읍 중심부로부터 동남동으로 직선거리로 4.3㎞ 떨어져 있는 반운리 웃담마을의 남서쪽 야산에 위치한다. 그곳은 고령읍내 동쪽 맞은편에 우뚝하게 솟은 금산에서 동남쪽 회천의 단애면을 따라 길게 뻗어 내리는 야산 줄기의 끝부분에 해당한다. 반운리 고분군②는 고분군에서 서북쪽으로 약 1㎞ 떨어져 육도처럼 돌출된 야산의 서북쪽 산등성이와 비탈면에 분포한다.
반운리 고분군①에서는 발굴 조사된 고분이 없다. 반운리 고분군②에서는 채집된 2~4세기의 와질 토기가 보고되어 있고, 또 개진면 반운리 18번지 납골묘 조성 부지 안에서 소형 묘 3기가 동양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어 형태와 출토 유물의 내용이 밝혀졌다.
반운리 고분군①에서는 파괴된 고분의 석재로 보이는 할석들과 각종 회청색 경질토기(硬質土器) 조각이 드문드문 드러나 있다. 정상부에는 돌덧널의 장벽으로 보이는 석축열이 드러나 있는데, 그 상태로 보아 소형 구덩식 돌덧널로 판단된다. 고분군은 분포 밀도가 높지 않은 소규모 구덩식 돌덧널무덤군으로 추정된다. 반운리 고분군②에서 발굴조사 된 3기는 모두 장축이 등고선과 평행하는 3세기 무렵의 덧널무덤으로 2기는 소형이고 1기는 중형급에 해당한다.
반운리 고분군① 일대에 흩어져 있는 토기 조각은 항아리의 아가리나 몸체, 대옹(大甕) 등 회청색 경질의 작은 파편이다. 이것으로 정확한 기본 형태나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대체로 대가야시대와 신라에 병합된 직후의 것으로 추정된다. 반운리 고분군②에서 수습된 지표 유물은 우각형 파수부 긴목항아리, 노형 그릇받침, 양이부호(兩耳附壺), 짧은목항아리, 대호(大壺) 조각 등이다. 발굴 조사된 덧널무덤 내부와 주위에서 수습된 유물은 작은 짧은목항아리, 삿무늬 짧은목항아리, 방추, 단조·주조철부, 굽은 소도, 철창 등이다.
현재 반운리 고분군이 위치한 산 일대 전체가 숲이 무성하게 조성되어 있어 현장을 답사하여도 고분의 흔적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다만 발굴 조사된 덧널무덤 3기의 위치는 납골묘역으로 조성되어 잔디가 심어져 있다.
반운리 고분군은 회천변 충적지와 신안천변의 작은 곡저 평지를 기반으로 살았던 삼한시대와 대가야시대 및 그 직후의 주민들이 묻힌 고분군으로 추정된다. 삼한시대의 고분군이 조성되었고, 2세기를 지난 뒤 그 인접지에 다시 조성된 대가야의 소규모 단위 고분군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