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산당리 바위구멍 유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664
한자 山塘里-遺蹟
영어의미역 Cup-Mark in Sandang-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산당리 산 43-3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정동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암각화
양식 별자리형|윷판형
건립시기/연도 청동기시대
길이 1,250㎝[바위면]
둘레 1,200㎝[바위면 너비]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산당리 산 43-3 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산당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바위구멍 유적.

[개설]

산당리 바위구멍 유적은 별자리형과 윷판형이 함께 위치해 있다. 따라서 별자리형과 윷판형은 비슷한 시기 동일한 집단에 의해 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위치]

산당리 바위구멍 유적쌍림면에서 합천군 해인사 방향으로 난 국도 26호선 도로변에 있는 산당리의 쌍림석재 오른쪽 옆 산록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북쪽으로부터 뻗어 내린 산 능선의 말단부에 해당하며, 앞으로 안림천 주위에 형성된 용담들이 펼쳐져 있고, 그 너머로 안림천이 흘러내린다.

정리 전에는 5~6기의 지석묘가 안림천을 따라 100m 정도 일렬로 배치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규모가 큰 것은 길이가 4~5m가 넘었다고 한다. 산당리 바위구멍 유적은 2006년 고령군청에서 유적 보호를 위해 철책을 둘러놓았다. 한편 이곳에서 서북쪽으로 15m 정도 떨어진 곳의 자연 바위면 위에서도 바위구멍이 새겨져 있다. 실제로는 두 자연암반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형태]

홈으로 연결된 경우는 적게는 2~3개로부터 많게는 열 개 이상의 대소형 구멍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홈의 깊이가 매우 얕고 바위 표면의 박락이 심한 편이어서 구멍 사이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도 많다. 이 때문에 현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만 도면상에 표시하였으나, 더 많은 구멍들이 홈으로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구멍이 연결된 형태는 대형 구멍 2~3개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중소형의 구멍을 배치하여 홈을 연결시켜 놓은 경우가 많다. 홈은 바위의 높은 쪽인 서쪽에서 낮은 쪽인 남쪽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으나, 북-남쪽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홈의 폭은 1~4㎝ 내외이며, 깊이는 1㎝ 미만이 대부분이다. 이들 연결 홈들은 의도적으로 구멍 사이를 연결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바위면 남쪽에 서 있는 참나무 아래에 윷판이 한 개 새겨져 있다. 윷판은 길이 180㎝, 폭 90㎝ 정도인데, 별자리형 바위구멍이 새겨진 암반과 연결되어 있으나 그보다 30㎝ 정도 더 높다. 윷판의 지름은 24㎝이고, 구멍 한 개의 지름은 1~3㎝, 깊이는 0.2~0.4㎝ 내외이다. 가운데의 ‘十(십)’자 부분의 방향은 서-동향이다. 그와 함께 또 다른 한 곳에도 윷판으로 여겨지는 형태가 한 개 더 있으나, 정확하게 윷판을 이룬 것은 아니다.

[현황]

구멍이 새겨진 바위면의 규모는 길이 1,250㎝, 너비 1,200㎝ 정도이며, 길이 방향은 서동향이다. 바위의 재질은 사암질이다. 바위 상면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데 높이 차이는 290㎝ 정도이다. 이처럼 동향의 비스듬한 바위 상면에는 대략 600여 개의 구멍이 새겨져 있고, 구멍 사이를 얕은 홈으로 연결시켜 놓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고령 지역의 바위구멍 유적 중 가장 규모가 크며, 구멍 수도 가장 많은 유적이다.

바위구멍은 전체 바위면의 서북쪽 상부의 높은 부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구멍들 중 지름 18~24㎝, 깊이 8~12㎝ 내외의 대형 구멍이 여섯 개 정도 확인된다. 이곳에서 서북쪽으로 15m 정도 떨어진 곳의 자연 바위면 위에도 바위구멍이 새겨져 있다. 바위면은 길이 330㎝, 너비 217㎝ 정도의 크기로,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비스듬한 형태를 하고 있다. 바위의 재질은 모두 사암질이다. 경사진 바위면 위에 지름 31㎝, 깊이 8㎝의 대형 구멍 한 개가 위치해 있고, 그 주변으로 60여 개의 구멍이 새겨져 있다.

구멍은 비스듬한 바위면의 상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일곱 개의 구멍을 거의 일직선상으로 배치하고 구멍 사이를 얕은 홈으로 연결시켜 놓은 것이 주목된다. 그 외에도 얕은 홈을 길게 연결시켜 놓은 경우도 있다. 연결 홈은 바위면의 기울기와 같은 방향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리 그어놓았다. 또 근래에 한자로 ‘평산(平山)’이라 새겨놓기도 했다.

[의의와 평가]

산당리 바위구멍 유적은 별자리형과 윷판형 바위구멍이 함께 위치하고 있으며, 구멍을 새긴 기법도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윷판형과 별자리형이 동시에 발견된 사례로 양자가 비슷한 시기에 동일 집단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유적은 향후 윷판형 및 별자리형 유적의 성격 규명이나 상호 관련성 등을 밝히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 사례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