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142
한자 竹圃書堂
영어음역 Jukposeodang
영어의미역 Jukpo Village School
이칭/별칭 죽포재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본관리 335[관동3길 5-1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서당
양식 팔작지붕 기와집
건립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정면칸수 5칸
측면칸수 1.5칸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본관리 335[관동3길 5-18]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본관리에 있는 성산이씨 문중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당.

[위치]

대가야읍에서 국도 33호선을 따라 가다가 본관리에서 덕곡면 방향으로 군도 2호선을 따라 조금만 가면 왼쪽에 본관리 마을회관이 나타나고 100m 정도 더 가면 왼쪽으로 마을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길 양쪽에는 큰 돌에 ‘의재(義齋)’와 ‘자사당(慈思堂)’이라고 음각한 표지판이 있고 이 표지판을 지나 마을을 가로질러 가면 마을 뒤쪽 야산에 위치해 있다.

[변천]

죽포서당선조 때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낸 근재(謹齋) 이동례(李東礼)와 세 아들인 죽포(竹圃) 이현용(李見龍), 국포(菊圃) 이문용, 매포(梅圃) 이택용[이상 三圃] 등의 유업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서당이다. 삼포는 후손들에게 “조상을 잘 섬기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는 구휼사업(救恤事業)에 힘써야 하며, 친족이 화목해야 한다.”는 유지를 남겼으므로 곁에 의창(義倉)을 지어서 종중 곡식을 채워서 굶주린 사람들을 구제하였다 하여 ‘의재’라 하였다.

이현용한강(寒岡) 정구(鄭逑) 선생의 문인으로 학행과 무예가 뛰어나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창의하고 군위현감을 역임하였다. 인조의 셋째 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인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스승이었던 이현용의 업적을 추모하여 그 후손들이 일찍 재사를 건립하였으나 오래전에 없어지고 1997년에 다시 세운 재실이다.

[형태]

건물의 구조는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의 팔작지붕 기와집으로 좌측 1칸과 우측 2칸은 온돌방을 만들고 사이의 2칸은 대청을 놓았다. 대청마루에는 ‘죽포서당’ 이라는 현액 외에 ‘성곡재(聖谷齋)’ 라는 현액이 걸려 있다.

[현황]

죽포서당은 정면에 정면 3칸, 측면 1칸의 기와지붕 대문이 있고, 돌과 흙을 섞어 만든 담장 위에 기와를 얹은 사각의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다. 죽포서당 경내는 깨끗하고 잘 정리되어 있다. 죽포서당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변에는 대나무가 많다. 죽포서당 뒤쪽과 앞쪽 의재가 있는 건물 주변에도 대나무가 울창하다. 죽포서당 건너편 90도 방향 약간 높은 곳에 최근에 건축한 의재가 있으며 의재의 대문인 진덕문(進徳門) 입구에는 2001년에 건립한 홍와이선생사적비(弘窩李先生事蹟碑)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