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B020203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언

[보리깜부기 먹던 등굣길]

경상남도 고성에서 김천으로 이어진 국도 33호선합가리 개실마을 앞을 가로지르고 있다. 이 길은 오랫동안 합가리 사람들이 고령이나 합천 방면으로 다닐 때 이용하는 도로였다. 이와 동시에 합가리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쌍림면에 소재한 학교를 오가는 등하굣길이기도 했다.

국도 33호선이 비포장이었던 당시 가깝게는 2㎞, 멀게는 4㎞ 정도를 걸어 다니던 학생들에게 이 길은 많은 추억을 간직한 곳이다. 1960년대 합가리에서 쌍림면 소재지의 쌍림초등학교를 다녔던 아이들은 대략 70~80명 정도였다.

1960년대 중반 무렵 개실마을 앞의 비포장 등굣길에는 벚나무 가로수가 빽빽이 들어서 있었다. 꽃이 지고 난 뒤 열리는 버찌는 먹을 것이 귀해 한창 배고픈 학생들에게는 좋은 간식거리가 되었다. 버찌를 양껏 먹은 아이들의 입가는 붉고 푸른 물이 들기 일쑤였다. 합가리의 아이들은 이보다 앞서 진달래가 피는 계절에는 꽃잎을 따서 먹으며 학교를 오갔다. 5월에 보리가 익어 갈 무렵에는 제대로 익지 못하고 새까맣게 병이 든 보리 이삭인 보리깜부기를 뜯어다 불에 그슬려 먹었다. 보리 수염을 불에 그슬려 제거한 뒤 남은 깜부기의 맛은 제법 고소했고 요기도 되었다. 이 외에도 찔레순과 양파, 보리팥이라 했던 완두콩 등은 허기진 아이들의 훌륭한 간식거리이자 등하굣길의 무료함을 달래는 소일거리이기도 했다.

합가리 아이들이 다니던 등굣길인 국도 33호선은 원래 개실마을 앞 개천 건너편 접무봉 아래 기슭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신작로를 내면서 개실마을 바로 앞을 가로지르게 되었고, 이 신작로에 아스팔트 포장 작업을 하면서 2차선 도로가 되었다. 2009년에 국도 33호선은 다시 옛길이 있던 개천 건너편으로 노선이 바뀌어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이처럼 국도가 다시 옛길을 따라 이어지면서 마을 앞을 가로 지른 도로의 통행량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한다.

[비오는 날의 등굣길]

1960년대 쌍림면으로 학교에 다녔던 합가리 아이들은 비만 내리면 난처한 일을 많이 겪었다. 무엇보다도 우산이 귀했던 시절이라 비가 내리면 온몸이 비에 젖어 곤혹스럽고, 몸이 시릴 정도로 한기를 느꼈다. 우산 대신에 겨우 삿갓을 구해 등교를 하더라도 방과 후에 일찍 귀가하던 친구가 삿갓을 가져가면 큰 낭패를 당했다. 아버지가 비오는 날 들에서 농사일 할 때 쓰던 삿갓을 잃어 야단을 맞아야 했기 때문이다. 삿갓 말고도 새 운동화를 신고 등교했다가 잃어버리면 더 큰 야단을 맞았다.

쌍림면 소재지와 합가리 사이 안림천에는 귀원교가 가로 질러 두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이곳에 귀원교가 건립되기 이전에는 비가 많이 오는 날이면 안림천을 건너야 했던 합가리신곡리의 아이들은 물이 불어나기 전에 일찍 하교하기도 했다고 한다.

[겨울철 등굣길]

겨울이 다가와 개실마을 앞의 개천이 얼면 아이들의 등굣길은 신나는 놀이터가 되었다. 아이들은 하류에 위치한 학교로 얼음을 지치며 갈 수 있도록 간이 스케이트를 준비했다. 각자의 발 크기에 맞는 송판을 준비하고, 송판의 바닥 중심에 외줄의 굵은 철사를 묶어 스케이트 날을 만들었다. 송판의 윗면 양 옆으로 못을 박고 고무줄을 매어 신발 끈으로 사용하면 얼음을 지칠 수 있는 간이 스케이트가 완성되었다.

얼어붙은 개천을 따라 오르내리다 보면 신발과 양말이 물에 젖기 마련이었다. 물에 젖은 양말과 신발을 신고 집에 들어갈 수 없었던 아이들은 냇가에서 잔가지를 모아 지핀 모닥불에 양말과 신발을 말려야 했다. 그런데 대부분의 아이들이 신은 ‘나일론 양말’은 불에 약해 말리는 과정에서 태우는 일이 잦아서 부모님께 야단도 자주 맞았단다.

[정보제공]

  • •  이용호(남, 1953년생, 쌍림면 합가리 주민, 문화유산해설사)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