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선비 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395
영어음역 Seonbi Norae
영어의미역 Song of Classical Scholar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
집필자 박영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비기능요
기능구분 비기능요
형식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김기미[성산면 득성리]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에서 인생무상을 노래하는 비기능요.

[개설]

「선비 노래」는 젊을 때 인생을 즐기면서 놀자며 인생이 덧없음을 노래하는 민요이다. 비기능요는 기능요보다 후대의 것이며, 비기능요가 대량 생겨나거나 유행하기 시작한 시기는 개화기 이후의 일이다. 개화기 이전에는 전문적인 소리꾼들의 소위 잡가라는 것은 있어도 일반 민중이 널리 부르는 비기능요는 드물었다. 개화기 이후에 문화의 일반화로 잡가가 개방되고, 지방 간의 문화 교류로 기능요가 비기능요로 대량 전파되었다. 또한 생활 방식이 달라지면서 기능요가 차츰 기반을 잃고 비기능요로 바뀌었다.

[채록/수집상황]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박이정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편에 실려 있다. 이는 김광순이 2000년 11월 4일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김기미[여, 72]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선비 노래」는 서정성이 풍부한 비기능요이다. 2음보 45행의 연속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렴이나 대구가 없는 독창 형식이다. 2음보격은 급격한 느낌을 주는데, 이 노래는 한 편이 45행 1연으로 된 비교적 긴 형식이다. 긴 것일수록 가사 중심이고, 곡은 단조하게 반복되어서 노래한다기보다도 읊조리는 음영(吟詠) 민요이다.

[내용]

노세 노세 절머서 노세/ 늙고 병들면 몬노리오/ 어지것지도 청춘이더만은/ 오늘갔지도 백발이오/ 하루우리인지 주거지면/ 인지라도 주거어지면/ 하루이틀밤 자고 나면/ 공덕모지 화자장터로 떠나가고/ 하루이틀 날이 가고/ 달이 가고 해가 가고 철연이 간들/ 무덤 앞에 쌈돋떠냐/ 말년이 간들 운돋던냥/ 우리 인생 아니아니나 슬플소냐/ 비계삼천 맹상군도/ 주거지면 자치우고/ 박자청송 곽부양도/ 주거지면은 허사라오/ 영혼인들 아니늙고/ 호걸인들 안 죽을까/ 영혼도 자랑말고/ 호걸이도 말을 마소/ 망구영웅 진시왕도/ 여산처소에 잠들어있고/ 글잘하던 이투박이도/ 구경산천에 안치되고/ 천하명장 초패왕도/ 옥왕월하에 흔적없고/ 구하던 한무제도/ 부두춘풍에 한탄이오/ 천하명에 편작이도/ 한죽음을 몬민하고/ 제일봉 석수군이도/ 한수없이도 돌아가고/ 삼천갑자 동방석도/ 염라대왕을 몬친하여/ 말없이도 도라가고/ 초록같아한 우리 인생/ 물우에 거푸미이요/ 풀 끝에 이슬이랑/ 읍초창생 우리만민/ 늙고 점고 덕을 따라/ 우리 모도 우리 모도/ 극락 낙원으로 돌아가세/ 우리 인생 죽고 나면/ 무지고은 뿐이라오.

[의의와 평가]

「선비 노래」는 기능상 비기능요에 해당하는데, 여기에서 인생의 덧없음을 달관한 인생관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