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과거 급제와 화짓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526
한자 科擧及第-
영어의미역 The Passing of The Civil Examinations and Hwagitda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집필자 이화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민담|지명유래담
주요 등장인물 양반|주민
관련지명 도진리|화짓대
모티프 유형 과거에 급제한 인재를 환영하는 장소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에서 화짓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과거 급제와 화짓대」는 과거에 급제하였다는 징표인 깃대를 꽂아 놓고 마을 주민이 환영하는 잔치를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채록/수집상황]

2006년 박찬익이 집필하고 박이정에서 펴낸 『새로 발굴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2000년에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주민 박돈헌[남, 50]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내용]

과거에는 고령군 우곡면 도진마을 출신들이 벼슬을 많이 했다고 한다. 화짓대라는 것은 그러한 배경에서 생긴 것으로 보통 양반마을의 동네 입구에 서 있다.

도진리에도 화짓대가 있었는데 현재는 이정표만 전해진다고 한다. 이 마을 출신이 옛날 과거에 오르거나 관직을 받아서 마을에 신고를 하러 올 때 마을 사람들이 새로 뽑힌 인재를 구경하려고 기다리던 곳이 바로 화짓대이다. 화짓대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깃대를 들고 오면 그 기를 꽂아 놓고 마을 주민이 잔치를 하던 곳으로, 솥을 걸고 돼지를 잡아서 동네잔치를 하면서 환영식을 하였다. 따라서 화짓대는 마을의 명예를 상징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모티프 분석]

「과거 급제와 화짓대」의 주요 모티프는 ‘과거에 급제한 인재를 환영하는 장소’이다. 조선 사회에서 중앙 관료로 진출하는 유일한 길인 과거 급제는 한 개인의 성공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는다. 「과거 급제와 화짓대」는 가문과 마을 공동체의 명예를 드높이는 일로써 과거 급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보여주는 지명전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