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고령문화대전 > 고령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과 어문학) > 구비전승 > 민요·무가
-
경상북도 고령 지역의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경상북도 고령군은 가야 문화의 발상지이자 중심지이다. 그리고 고령군은 교통의 중심이기도 하며, 옛날부터 농업이 발달한 곳이었다. 이러한 문화적·지리적 환경을 감안하면 고령 지역의 민요는 매우 다양하게 발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민요는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로 구분된다. 노동요는 「모찌는 소리」와 「모심는...
-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노동요는 민중들이 일을 즐겁게 하고 공동체 의식을 높여서 일의 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고령 지역 민요는 「모찌기 노래」, 「모심기 노래」, 「논 매기 노래」 등 논농사와 관련된 노동요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논농사는 물이 풍부한 지역이라야 농사를 지을 수 있다. 고령 지역은 낙동강과 크고 작은 내[川]를 끼고 있어...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에서 잡초를 뽑으며 부르는 노동요. 「논맬 때 부르는 노래」는 모심기가 끝난 뒤에 농군들이 논의 잡풀을 매면서 부르던 농업 노동요이다. 이 노래는 단조로운 일을 빠르고 경쾌하게 그리고 능률적으로 하기 위해 선후창의 반복 구조로 되어 있다.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박이정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편에 실려 있다. 이는 김광순이...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 「농창농창」은 농군들이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벼농사 노래 중의 하나이다. 이 노래는 매우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는 서정 민요이다. 시누이와 올케가 강변에 일을 하러 갔다. 그런데 상류에서 비가 많이 내려 갑자기 강물이 불어나 두 여자가 물에 떠내려가게 되었다. 그때 저만치서 오빠가 배를 타고 구하러 오...
-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예리에서 무덤을 만들 때에 달구질을 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달구 소리」는 운구 행렬이 끝난 후 시신을 매장하고 나서 달구꾼들이 봉분의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상여로 운구한 주검을 광중에 하관한 다음 상주가 취토를 하고 나면 석회를 섞은 흙을 한 자쯤 채우고는 다져서 광중을 메운다. 이 때 빈틈을 없애기 위해 달구질을 하는데, 달구꾼들이 빙...
-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상두꾼이 부르는 의식요. 「만가」는 덕곡면 예리 일원에서 상여꾼이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거나, 봉분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죽은 사람을 애도하여 이승에서의 행적을 기리고 저승에서 좋은 곳으로 가라는 뜻을 담고 있다. 죽음을 인생무상, 슬픈 이별로 표현하는 「상여 소리」이다.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박이...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 「모심기 노래」는 농군들이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벼농사 노래 중의 하나이다. 이 노래는 4행 1연으로 구성된 비교적 짧은 형식인데, 단조로운 일을 빠르고 경쾌하게 그리고 능률적으로 하기 위해 교환창의 반복 구조로 되어 있다.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박이정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개포리에서 여성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동요. 「베짜는 노래」는 부녀자들의 노동요로 삼을 삼거나 베틀로 피륙을 짜면서 부르는 길쌈 노래 중의 하나이다. 베를 짜는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 「베짜는 노래」는 보통의 노동요보다 훨씬 길다. 이는 베틀로 베를 짜는 작업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한자리에 앉아서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에서 돌아가신 부모를 그리워하며 부르는 비기능요. 「사친가」는 시집간 딸이 주로 돌아가신 친정 부모를 그리워하며 부르는 규방[내방] 가사류로 비기능요 중의 하나이다. 부모님 섬기는 도리를 노래한 것으로, 현재 2종류의 이본이 있다. 하나는 1921년에 창작된 「사친곡(事親曲)」으로 불리는 것으로 친정아버지가 시집살이하고 있는 딸에게 유교 예절에 따른 시부모 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에서 모심기 과정 중에 익살스러운 내용으로 부르는 노동요. 「살콤 보고 지나가소」는 모심기 과정에서 여인의 분통같은 젖을 보고는 손톱만큼만 보라며 익살스럽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이 노래에는 남녀의 성적인 내용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노동의 고통을 잊을 수 있는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모심기가 생산을 위한 행동이므로 남녀의 성도 생산과 관계가...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상두꾼이 부르는 의식요. 「상여가」는 장례 절차 중에서 출상 당일에 상두꾼들이 상여를 메고 갈 때 선소리 상두꾼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죽은 사람을 애도하여 이승에서의 행적을 기리고 저승에서 좋은 곳으로 가라는 뜻을 담고 있다. 죽음을 인생무상, 슬픈 이별로 표현하는 「상여 소리」이다.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에서 인생무상을 노래하는 비기능요. 「선비 노래」는 젊을 때 인생을 즐기면서 놀자며 인생이 덧없음을 노래하는 민요이다. 비기능요는 기능요보다 후대의 것이며, 비기능요가 대량 생겨나거나 유행하기 시작한 시기는 개화기 이후의 일이다. 개화기 이전에는 전문적인 소리꾼들의 소위 잡가라는 것은 있어도 일반 민중이 널리 부르는 비기능요는 드물었다. 개화기 이후에...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좌학리에서 성주에게 가정의 번영을 축원하며 부르는 의식요. 「성주풀이 노래」는 성주신(城主神)에게 가정의 번영을 축원하는 무가(巫歌)인 세시(歳時) 의식요 중의 하나이다. 이를 「성조풀이」라고도 한다. 본디 무당이 성주받이를 할 때에 복을 빌려고 부르는 노래였다. 우리 민속에서 집터를 맡은 신령인 성조왕신과 그의 아내인 성조 부인은 집을 짓는 일부터 일문일족...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에서 순금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요. 「순금시」는 순금씨에 관한 설화를 바탕으로 부른 서사민요이다. 이를 「숭금씨」라고도 한다. 1980년 임동권이 집필하고 집문당에서 발행한 『한국민요집』 1에서는 설화요를 배좌수딸요, 쌍가락지요, 심청요, 흥부요, 옥단춘요, 춘향요, 남매요, 농부요(聾婦謠), 숭금씨요, 의암요(義岩謠), 배비장요 등 11가...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 「원가」는 농군들이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벼농사 노래 중의 하나로서 매우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는 서정 민요이다. 어느 날 시누이와 올케가 강변에 일을 하러 갔다. 그런데 상류에서 비가 많이 내려 갑자기 강물이 불어나 두 여자가 물에 떠내려가게 되었다. 그때 저만치서 오빠가 배를 타고 구하러 오는 게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