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827
한자 黃龜河
이칭/별칭 성징(聖徵)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재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72년연표보기 - 황구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05년 - 황구하 알성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12년 - 황구하 지평, 사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16년연표보기 - 황구하 제주 별견어사 임명
추모 시기/일시 1724년 - 황구하 선정비 건립
활동 시기/일시 1725년 - 황구하 호조 참판, 대사헌, 한성부 윤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26년 - 황구하 도승지, 호조 판서 임명
몰년 시기/일시 1728년연표보기 - 황구하 사망
출생지 황구하 출생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선정비 황구하 선정비 처음 건립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722 지도보기
산정비 황구하 선정비 현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731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창원
대표 관직 호조 판서

[정의]

조선 후기 제주도 서귀포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성징(聖徵). 아버지는 황건(黃鍵), 할아버지는 황세구(黃世耉), 생조(生祖)는 황신구(黃藎耉)이며, 외조부(外祖父)는 이문행(李文行)이다. 1744년(영조 20) 갑자정시(甲子庭試)에 급제한 아들인 황합(黃柙)이 있다.

[활동 사항]

황구하(黃龜河)[1672~1724]는 1705년(숙종 31) 을묘 알성시(乙酉謁聖試)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1712년(숙종 39) 지평(持平)·사서(司書)를 거쳐 이듬해 정언(正言)·부수찬(副修撰)·수찬(修撰)·교리(校理)를 지냈다. 이어 충청좌도 어사(忠淸左道御史)로 나가 천안 군수 어유봉(魚有鳳)을 삭탈관직하고 충주 목사 김진옥(金鎭玉)을 포상하도록 주청하였다. 이러한 감찰관의 역할을 인정받아, 1716년(숙종 42)에 제주에 큰 흉년이 들자 백성을 위로하고 진정(賑政)을 감찰하도록 제주별견어사(濟州別遣御史)로 임명되어 제주에 파견되었다.

이 때, 황구하는 조 3만여 섬을 가져와 백성을 구휼하였고, 많은 아사자들을 위하여 위령제를 지냈다. 또한 진상물(進上物)도 1/3로 줄이도록 하였으며, 환상곡(還上穀)도 절반으로 줄여 갚도록 하였다. 그는 또 같은 해 제주 시재(濟州試才)를 거행하여, 고처량(高處亮)·정창선(鄭敞選)·고만갑(高萬甲)과 함께 입격하여 전시 직부(殿試直赴)의 자격을 갖게 된다.

이후 황구하는 헌납(獻納)을 거쳐 1717년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고, 이듬해 부응교(副應敎)·사간(司諫)을 거쳐 1719년 응교(應敎)·승지(承旨)·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경상좌도 균전사(慶尙左道均田使)가 되었으나 자신이 전 균전사 윤헌주(尹憲柱)를 탄핵하였기 때문에 나갈 수 없다 하여 사직하고 이듬해 대사성(大司成)이 되었다.

1721년 김창집 등 노론 4대신이 김일경(金一鏡)의 탄핵으로 유배될 때 파직되었다가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며 노론이 집권하자 다시 복직되었고, 이듬해 호조 참판(戶曹參判)·대사헌(大司憲)·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1726년 예조 참판(禮曹參判)·도승지(都承旨)·좌부 빈객(左副賓客)·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역임하고, 이듬해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호조 판서(戶曹判書)·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역임하였다.

[상훈과 추모]

황구하의 제주 별견어사 일년여의 재임 기간 중 그의 선정에 감복한 주민들이 1724년(경종 4)에 선정비(善政碑)를 세웠는데, 비석 전면에 “별견어사 황공구하 지성진민비(別遣御史 黃公龜河 至誠賑民碑)”라 새겨져 있다. 원래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성산읍 수산리 722번지에 세워졌으나 현재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수산리 731번지 앞 도로[수산사거리]에 윤구동 선정비(尹久東善政碑)와 함께 위치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