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013
한자 高天原-日本始祖神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집필자 이동월

[개설]

고천원(高天原)은 일본 역사 서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일본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이 다카마가하라[高天原]에서 살다가 일본으로 건너와 나라를 세웠다는 기록에서 나왔다. 일본 건국 신들의 고향이 바로 고천원인 것이다.

고천원이 어디를 가리키는가에 대해서는 이설(異說)이 분분한 가운데 한·일 역사학계에서는 고천원이 후기 가야의 수도였던 고령을 일컫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학자들 사이에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이 제시되면서 고령은 일본 천왕가의 고향으로 지목되기에 이른 것이다. 더욱이 이 주장은 4세기 중엽부터 6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약 200년간 한반도 남부를 식민지로 경영했다는 일본의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設)과 대치되는 것이어서 더욱 흥미롭다.

일본 천왕가의 고향이 경상북도 고령이라는 주장을 나름 인정한 많은 일본인들이 고령을 다녀가고 있으며, 대가야읍 지산리에 있는 가야대학교고천원공원을 조성하고 ‘고천원고지(高天原故地)’라는 비를 세워 일본 천왕가의 고향이라고 전해 오는 고천원대가야의 수도인 고령이라는 사실을 알리고 있다.

[고천원은 일본 천황가의 고향]

고천원은 일본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이 고천원에서 살다가 일본으로 건너가 나라를 세웠다는 『고사기』·『일본서기』의 기록에서 나왔다. 『고사기』는 오노 야스마로[太安麻呂]가 712년 완성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신화와 전설을 기록한 역사서이며, 『일본서기』는 720년 완성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대에서부터 제41대 천황 지토까지의 사적을 황실을 중심으로 쓴 편년체 정사(正史)이다.

『고사기』·『일본서기』에 기술된 일본 신화의 여러 신들의 계보는 이자나기노미꼬도[伊邪那崎/伊奘諾尊]와 이자나미도미꼬도[伊邪那美/伊奘冉尊]의 두 신에서 시작된다. 이종항은 이자나기는 천부신(天賦神), 이자나미는 지모신(地母神)이라고 하였다.

이자나기의 딸 아마데라스오오미카미[天照大神]는 일본 국조 신으로 숭앙을 받고 있으며, 일본 개국 신인 니니기노미꼬도[迩迩芸命]는 아마데라스오오미카미의 손자이다. 이들 신이 고천원에서 살았다는 것이다.

이 니니기노미꼬도가 고천원에서 일본 규수 히무카[日向] 다카지호노미네[高千穂峯]의 구지후루다케[槵触之峯]에 천강하여 아다나가야[吾田長屋] 땅에 이르렀다. 니니기노미꼬도의 후손이 하야토[隼人] 일족을 형성하고, 나라[奈良]의 원야마또[原大和] 세력을 정벌하여 고대 일본을 통일한 일본 천황가의 시조인 신무천황(神武天皇)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일본 천왕가는 고천원에서 왔으며, 고천원은 일본 천황가의 고향이 되는 것이다.

[고천원에서의 이주에 대한 해석]

일본 천왕가의 시조들은 고천원에서 살다가 일본의 한 지역에 천강했다. 신화적 언술상의 천강과 표착은 이계(異界)로부터의 이주나 도래의 의미를 지닌다. 환웅은 하늘로부터 지상으로 이주하여 나라를 세우고 정착했다. 그 자손인 건국 시조들도 신화적 관념으로는 하늘에서 도래한 존재들이다. 결국 이 도래의 관념은 이계에 대한 신성시와 닿아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역사학에서는 신화에서 말하는 그 이계가 실제로 어디인가를 묻고, 신화적 천강을 어떻게든 역사적 사건으로 입증하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역사학은 천제 손의 하강을 천신을 숭배하는 집단의 이주로 해석한다.

일본 천왕가의 고천원에서의 이주에 대해 천손 강림한 신성한 존재라는 신화적 해석이 가능한 한편 역사학자들은 고천원이 과연 어디이며, 이주를 역사적 사건으로 밝히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고천원이 고령을 지칭한다는 주장도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되었다. 재일 사학자 김달수는 고대 가야와 일본 교류에 대해 고대 일본에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가야인이 건너갔는데 그 수장은 신으로 숭앙 받았고, 그 수장은 통치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천손강림(天孫降臨) 의식을 가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화를 상상의 세계로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를 신화 형식을 빌려 표현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일본 건국 신화를 통해 가야와 고대 일본과의 교류는 빈번하였고, 나아가서는 일본 왕조 형성 과정에 깊이 관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천원이 한국의 고령인 이유]

일본 왕가의 시조들이 살았다는 고천원이 어느 곳을 가리키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설이 있지만, 한국의 고령이라는 학설이 한·일 학자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주장되고 있다.

이종항은 이자나기와 이자나미의 양 신은 대가야 건국 신화에 나오는 이진아시(伊珍阿豉)와 이름이 비슷하므로 동일인이라고 했다. 최성규는 『일본왕가의 뿌리는 가야왕족』에서 다가마노하라[高天原]의 ‘다까마[高天])’는 고유 명사로서 곧 ‘다까마[高靈]’에서 온 말이고, ‘노’는 조사, ‘하라[原]’는 장소를 뜻한다고 하였다. 또한 황영성은 『신무대왕발상의 본관(神武大王発祥の本貫)』에서 일본 건국 신의 하나인 다까미무수히노미꼬도[高皇産霊尊]가 가야의 고령 출신이고, ‘고령’과 ‘황산(皇産)[천황을 산출한다]’의 두 글자로 되어 있다는 설이 있다고 하였다. 어원과 설을 제시한 세 사람의 주장 모두 나름의 설득력을 가진다.

1. 『일본서기』의 기록

하지만 좀 더 확실한 근거는 문헌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고천원의 위치를 알기 위해 중요한 단서가 되는 사료는 『일본서기』의 수사노오노미꼬도[素戔鳴尊]에 관련된 내용이다.

“수사노오노미꼬도는 성질이 포악하여 여러 신들은 벌로써 치구라오기도[千座置戶]를 과하여 고천원으로부터 내쫓았다. 그래서 수사노오노미꼬도[素戔鳴尊]는 그의 아들 이다게루노미꼬도[五十猛尊]를 데리고 신라국 소시모리[曾尸茂梨][소머리산, 牛頭山]에 가서 말하기를 나는 이 땅에 살고 싶지 않다 하고 배를 만들어 타고 동쪽으로 항해하여 이즈모국[出雲國]의 히노가와[簸川] 상류인 도리가미노다케[鳥上峯]에 도착하여 그 곳에 살았다[一書曰, 素戔鳴尊所行無状, 故諸神, 科以千座置戸, 而遂逐之, 是時所素戔鳴尊, 師其子五十猛神, 隆到於新羅国 曾尸茂梨之処, 乃興言曰, 此地吾不欲居, 逐以埴土作舟, 乗之東渡, 到出雲国簸川上所在鳥上之峯 『日本書紀』]."

위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 쯔그바(筑波)대학교 마부치 가즈오[馬渕和夫] 명예교수는 수사노오노미꼬도가 고천원에서 추방되어 ‘신라국[曾尸茂梨]’에 가서 살았기 때문에 고천원을 신라국의 서쪽에 인접한 나라로 보고 대가야국 고령으로 비정하였다. 또 이경희 가야대학교 총장은 ‘소모리산[曾尸茂梨][牛頭山]’을 경상남도 가조에 있는 우두산(牛頭山)으로 보고 하루 만에 갈 수 있는 고령을 고천원으로 한정하였다.

2. 『고사기』의 기록

이 외에도 일본 개국 신인 니니기노미꼬도가 고천원을 떠나 처음 도착한 곳을 “이 곳은 가라국[韓國]과 마주 보고……, 아침 해가 바로 비치고 저녁 햇볕이 쬐는 지극히 좋은 땅”이라 하고 나라를 세웠다고 『고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니니기노미꼬도가 배에서 육지에 내리자마자 최초로 한 말이 ‘가라국과 마주보는 곳’이라는 데서 떠나온 고향과 연결을 맺고자 했던 마음을 간파할 수 있다. 그리고 그가 고천원에서 떠날 때 할머니 아마데라스오오미카미는 동거울, 쇠칼, 굽은옥을 주면서 “일본은 나의 자손이 대대로 왕이 될 것이니 가서 잘 다스려라”라고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니니기노미꼬도가 가져온 동거울, 쇠칼, 굽은옥은 고령 지방의 옛 무덤에서 흔하게 출토된다. 니니기노미꼬도가 고령에서 건너갔음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3. 고고학적 증명

이경희[가야대학교 명예총장]는 「‘고천원’의 고고학적 증명」에서, 천손 니니기노미꼬도는 칼·곡옥·동경 등 세 가지 종류의 신기(神器)를 갖고 건너갔다. 그런 것은 가야의 무덤, 특히 고령 지방의 옛 무덤을 발굴하면 흔하게 나오는 것이라고 했다. 계속해서 고천원의 고지는 신라에서 가까운 서방의[동방이란 것은 있을 수 없다] 어느 산중의 분지였다고 하는 조건에 딱 들어맞는 곳이 고령이다. 고령은 옛날 십 개 가야의 종주국이었던 임나가라의 수부가 있었던 곳이다. ‘임나’란 뜻은 한국말이며 ‘주인의 나라’, ‘어머님의 나라’라는 뜻이다. 일본의 야마토[大和] 정부는 고령에 있었던 가라국을 ‘임나가라’라고 불렀다는 사실로도 임나가라는 일본 야마토 정부의 모국이었음을 충분히 알 수가 있다고 했다.

4. 천신족이 살았던 장소

일본의 사학자인 사와다요타로[沢田洋太郎]는 「고대가야와 일본의 교류사」라는 글에서, 고천원은 천신족이 살고 있던 장소라는 뜻이라고 했다. 태고에 서아시아 주변에 있었던 천신족이 동진(東進)하여 기원 전 1세기 무렵에는 한반도에 도달하고, 그 남부인 경상도에서 전라도에 걸쳐 거주했음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당시 낙동강 연안에 있었던 6국 가야 중 대가야는 고령에 있었다. 그 일대에는 원분(圓墳)이 많고, 그 나라는 미오야마토[弥烏邪馬國]라고 불리고 있었다. 그리고 그 나라의 왕 이름으로 전해온 이진아시야말로 천신족의 조상인 이지나기에 통하므로 이 땅은 기원 전후의 고천원이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렇게 한·일 양국의 역사학자들이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며 고천원대가야의 수도인 경북 고령으로 지목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일본 천황가는 김수로왕의 후예라는 설도 있지만 뚜렷한 근거는 부족하다.

5. 문화의 상호 교류

지금까지 고령이 일본 천왕가의 고향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령이 고천원이다 아니다를 떠나서 일본 열도에는 400년대 중반 이후 대가야 유물이 다수 출토되고 있으며, 한반도의 대가야 세력권 내 일부 고분에서도 일본의 토기와 유물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대가야와 일본의 교류가 활발했었던 것을 의미한다. 2004년 『매일신문』 특별취재팀에서 펴낸 『잃어버린 왕국 대가야』에서 경북대학교 박천수 교수는 “일본은 침략사관에 따른 역사 해석만 되풀이 해왔고, 한국도 일방적 문화 전파만 얘기했지 상호 교류의 관점을 갖지 못했다”며 “문화의 상호 교류라는 냉철한 인식을 바탕에 깔고 바라봐야 할 것”이라는 말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의의와 평가]

일본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고천원이 고령을 가리키며, 고령은 일본 천왕가의 고향이 된다는 이야기는 민간에서 전승되는 것이기 보다는 대가야와 관련된 연구를 하는 전문가들에 의해 주장되어졌다. 이 주장은 이설이 한·일 양국 간 그리고 학자 간에 존재하므로 고천원이 어디인지 명확해지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대가야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건너갔음이 역사적으로 확인되고 있고, 옛 무덤에서 출토된 물품들이 고천원이 고령이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삼을 때 ‘고천원’ 신화는 대가야인의 일본 이주를 나타내는 설화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