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0241 |
---|---|
한자 | -橋 |
영어음역 | Saegureumgyo |
영어의미역 | Saegureumgyo Brid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운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원형 |
성격 | 교량|다리 |
---|---|
구간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운산리
![]() |
길이 | 36m |
차선 | 상하행 2차선 |
폭 | 9m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운산리 새구름마을 앞에 있는 다리.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운산리 새구름마을의 이름을 따서 새구름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운산리는 운수면의 가장 남쪽에 위치하며, 큰구름·새구름·삼하정 등의 마을이 있다. 운산리는 운라산 아래에 있기 때문에 운산이라고도 하였고, 마을 동쪽에 큰 산이 있어 아침이 되면 늘 안개가 많이 끼어 구름산 또는 운산(雲山)이라고도 한다. 운수면 또한 운라산의 이름을 따라서 과거 운라면이라고도 불렀다. 새구름은 기존 마을을 구름이라 했으니 이에 대하여 새로 생긴 마을이기 때문에 새구름 혹은 신운산이라 하였다.
새구름교는 교장 36m, 총 폭 9m이며, 설계 하중은 DB-24이다.
새구름교는 새구름마을 앞에 있는 농경지를 가로 질러 대가천으로 흐르는 개울을 건너기 위한 교량이다. 2003~2005년의 기간 동안 주식회사 명성종합건설이 시공하였다.
고령군 운수면 운산리의 한다리마을 앞 오거리에서 군도 8호선 도로의 남쪽으로 넓은 농경지가 펼쳐져 있고, 새구름과 삼하정 등의 마을이 산기슭에 위치해 있다. 새구름교는 마을의 진입 및 농경지를 연결하는 농업용 교량이기 때문에 교량의 규모가 작고 차량의 통행도 많지 않다. 상하행 2차선 교량으로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새구름교 북쪽에는 삼하정교가 있는데, 새구름마을은 삼하정교를 통해서도 진입이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