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0474 |
---|---|
한자 | 花岩里古墳群 |
영어의미역 | Ancient Tombs in Hwaam-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화암리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가야 |
집필자 | 조영현 |
성격 | 고분 |
---|---|
양식 | 수혈식 석곽묘[구덩식 돌덧널무덤] |
건립시기/연도 | 5세기 말~6세기 초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화암리
![]()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화암리에 있는 대가야시대의 고분군.
화암리 고분군은 대가천을 사이에 두고 대평리 고분군과 마주하고 있다. 운수면의 대표적 고분군인 월산리 고분군에서 약 2.5㎞ 북쪽에 있는 곁실마을 뒷산에 위치하며, 대가천에서는 서쪽으로 약 1㎞ 떨어져 있다. 배후의 해발 고도 163.9m의 야산이 화암리 충적지 중앙부를 향해 내려오는 5부 능선에서부터 산 아래까지의 산등성이와 양쪽 비탈면에 분포한다. 현재는 폐교가 된 화암초등학교에서 북서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지점부터 시작한다.
화암리 고분군에서 발굴 조사된 고분은 없다.
구덩식 돌덧널[수혈식 석곽]을 주체로 하는 소형 봉토분 5~6기가 확인된다. 모두 도굴당한 상태이며, 봉토분과 일부 석곽이 드러나 있다. 봉토분은 근래 민묘가 조성된 산등성이를 따라 6기가 분포하며, 규모는 직경 10m 내외이다. 민묘를 조성할 때 파손된 고분과 일대에서 보이는 할석들로 보아 주체부는 할석으로 축조한 석곽이며, 노출된 것은 장축 방향이 등고선과 교차한다. 길이 130㎝, 너비 50㎝, 두께 25㎝ 크기의 뚜껑돌이 노출되어 있고, 곁실마을로 통하는 길가의 절개 부분에는 파손된 석곽의 뚜껑돌 5매가 연이어 장축 3m 길이로 길을 따라 드러난 것도 있다.
여러 종류의 토기 조각이 흩어진 상태로 비교적 많이 드러나 있다. 밀집파상문(密集派狀文)이 시문된 항아리 조각, 자연유가 덮여 있고 짧게 외반(外反)된 주둥이와 방형 투창의 대각을 갖춘 대부단경호(臺附短頸壺) 등이 발견되었다.
화암리 고분군을 포함한 주변 일대의 야산에는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으며 보호 시설 등은 없다. 민묘가 많이 조성되어 있고 아래쪽은 마을이 들어서 있어 더 이상의 큰 훼손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고분군 앞의 충적지에서 석기 박편과 그물추가 보여 선사 유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맞은편 산기슭에서 두드림무늬[타날문(打捺文)] 토기 조각이 약간 보여 화암리 고분군과 별개의 소규모 돌덧널무덤이 분포할 가능성도 있다.
화암리 고분군은 대가천 서쪽의 화암리 충적지를 터전으로 살았던 당시의 주민들 무덤으로 추정된다. 소규모 돌덧널무덤군이지만 봉토분이 포함되어 있고, 성산가야와 접경지대에 위치한 대가야의 주변부 고분군이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