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1121 |
---|---|
한자 | 製鐵 |
영어의미역 | Iron Manufactur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가야 |
집필자 | 이형기 |
삼국시대 대가야에서 각종 철재를 만들던 기술.
제철이란 야금의 한 분야로서, 철광석으로부터 철을 추출하고 정련해서 각종 사용목적에 적합하게 그 조성 및 조직을 필요한 형태로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고대 우리나라의 여러 유적지에서 출토된 철기 유물들이 대부분 이기류와 무기류로 구성된 것은 우리 선조들이 일찍부터 철을 사용할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는 것과, 인간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생활 도구에서부터 무기류에 이르기까지 그 문화적인 중요성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B.C. 3~4세기경 연(燕)의 주조 철기가 한반도 북부 지역에 처음 보급된 이후 곧 철 생산이 이루어진다. 이후 철기 문화는 빠른 속도로 남부 지역으로 확산되는데, 이는 주조 철부[鑄造鐵斧]와 쇠끌[鐵鑿]이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견된 데서도 확인된다. 고령 지역에서는 낙동강 하류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기원전 1세기 이후에 생산했던 철제 유물뿐만 아니라 4세기 이후에 생산되기 시작한 철제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되고 있다.
가야 지역에서 철은 국가의 형성 및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삼국지(三國志)』 변진조의 “나라에서는 철이 생산되는데 한(漢)·예(濊)·왜(倭)가 와서 가져갔으며, 시장에서의 매매에 철을 사용하여 마치 중국의 돈[錢]과 같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낙랑군과 대방군에 공급되었다.”는 기록을 통해 비교적 널리 철이 생산되고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옛 가야 지역에서의 철기 생산 유적지로 고성 동외동 패총, 창원 성산 패총, 부산 동래 패총 등이 알려져 있다.
대가야에서 대규모로 철 생산이 이루어진 곳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보이는 적화현(赤火縣)[현재의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으로 알려져 있다. 야로(冶爐)는 ‘대장장이’와 ‘화로’를 뜻하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철과 관련된 지역을 의미한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이곳에서 많은 철이 생산되어 1년에 세공으로 정철 9,500근을 바쳤다.[沙鐵 産冶爐縣 南心妙里有鐵場 歲貢正鐵九千五百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세공이 그 정도면 실제 생산되는 양은 훨씬 더 많았을 터이다. 아울러 야철지가 확인되기도 하였는데, 합천군 야로면 야로 2리 및 가야면 성기리 야동마을 뒤편이 그것이다. 고령군 쌍림면 용리 일대에서도 야철지가 확인되었다.
철기의 제작은 단단한 철제 농기구의 사용으로 좀 더 나은 농업 생산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무구류의 제작으로 말미암은 강력한 군사력의 확보를 가능하게 해 준다. 3세기 중엽 개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야로의 철장은 김해 금관가야의 몰락 이후 선진 문물을 가진 유민과 이민들의 파급으로 한 단계 높은 철기·도기 등의 제작 기술, 사회 통제 방식, 국제 관계에 대한 인식 능력 등이 전해짐으로써 대가야의 성장에 한층 힘을 실어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철기를 바탕으로 대가야는 서서히 외부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고, 결국 서부 경상남도 일대를 영향권 내에 둘 수 있었던 것이다. 무력이나 외부와의 교역을 중요 원동력으로 해석하면서도 그 근간을 야로의 철 생산에 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