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1426 |
---|---|
한자 | 婦人城傳說 |
영어의미역 | Legend of Buinseong Fortress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가야 |
집필자 | 김남경 |
성격 | 설화|전설|지명유래담 |
---|---|
주요 등장인물 | 부인들|대가야군|신라군 |
관련지명 |
고령군 대가야읍 쾌빈리|정정골|고싯골![]() |
모티프 유형 | 부인들이 나른 돌로 쌓은 성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에서 부인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부인성 전설」은 성을 부인들이 운반한 돌로 쌓았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대가야읍 쾌빈리의 정정골 근처에 있는 허물어진 산성이 바로 부인성이다. 이끼가 끼어 허물어진 성터는 무수한 세월을 짐작케 한다. 이곳은 옛 가야의 성터이다.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박이정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편에 실려 있다. 이는 2000년 11월 13일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현 대가야읍] 지산리 주민 김도윤[남, 77]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고령군 대가야읍 쾌빈리의 정정골 근처에 위치한 부인성은 고싯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가야시대 대가야군이 신라군을 섬멸한 장소이다. 이 성은 가야와 신라가 치열한 싸움을 벌일 때 가야의 부인들이 앞치마에 돌을 날라 쌓았다 하여 그 성을 부인성이라 불렀다.
「부인성 전설」의 주요 모티프는 ‘부인들이 나른 돌로 쌓은 성’이다. 이 이야기는 대가야와 신라가 최후의 일전을 벌일 때 가야의 부인들이 앞치마를 이용하여 돌을 날라서 성을 쌓았다는 지명전설이다. 고령 지역에는 가야산, 미숭산, 만대산 등의 큰 산이 있고 대부분의 마을이 조그마한 봉우리를 지니고 있는데다가 소가천, 대가천, 안림천, 회천 등 하천이 많아 지명과 관련된 설화가 많이 전한다. 또한 대가야와 신라의 전투에 관한 내용이므로 전쟁설화와도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