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길쌈 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693
영어음역 Gilssamnori
영어의미역 Weave Playing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호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음력 7월|8월

[정의]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공동으로 길쌈하며 겨루는 놀이.

[개설]

길쌈놀이는 동네의 부녀자들이 한데 모여 공동으로 실을 내어 옷감을 짜며 경쟁하는 풍습이 놀이화가 된 민속놀이이다. 길쌈놀이는 삼남 지방[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에서 음력 7월부터 8월 추석까지 특히 성행했다. 온 동네 부녀자들은 장정들이 조직하는 두레와 같은 형태의 공동 길쌈을 조직하고 길쌈 솜씨를 경쟁했다. 여러 집의 길쌈을 돌려가며 했으며, 이를 전부 끝낸 다음 결산하면서 유쾌하게 놀았다. 공동 길쌈이 끝난 날에만 이러한 오락이 벌어진 것이 아니라 길쌈을 공동으로 하는 동안에도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와 민요를 불러 작업의 피로와 단조로움을 덜었다. 길쌈 노래에는 봉건 사회에서의 고부간의 갈등, 고된 노동, 길쌈 노동에서 발휘하는 근면성, 남편에 대한 생각 등이 여실히 표현되고 있다.

이미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신라의 6부에서 길쌈 경쟁을 행했다는 기록이 보이며, 15세기의 학자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시에 길쌈놀이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서도 이 놀이의 전통은 매우 오래된 것이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서사 민요로서의 독특한 장르를 지니는 민요들이 다수 보고된다. 제천 지역에서는 간간이 「베틀가」가 전승되는 것을 채록할 수 있다.

유래가 오랜 여성들의 길쌈놀이는 공동 작업과 함께 단조로운 노동 동작을 율동화하고 흥겹게 하면서 노동과 휴식을 서로 결합시켜 노동 생산 능률을 향상시키는 데 일정한 의의를 가졌으며, 부녀자들의 노동 생활의 아름다운 정서를 담은 놀이였다. 오늘날은 의생활에 큰 변화가 일어나면서 전래의 길쌈은 거의 하지 않고 있어 길쌈놀이도 급격히 쇠퇴했다.

[연원]

길쌈놀이의 기원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신라 유리왕 시절에 6부로 나뉘어 행했다는 길쌈놀이는 지금의 추석 한가위에 해당하는 가배(嘉俳)의 전통이 되기도 한다. 고려 시대에는 비단을 짜는 잡직서(雜織署), 염색을 하는 도염부(都染部)를 두었으며, 사원에서도 길쌈을 했다. 고려 시대 말에는 문익점(文益漸)[1329~1398]이 중국에서 목화를 들여온 이래로 무명길쌈이 시작되었다. 목화가 들어오면서 무명이 베를 압도하고 우리나라의 의생활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놀이 도구 및 장소]

길쌈 과정은 매우 까다롭다. 삼베는 재배, 거두기, 삼 삼기, 껍질 벗기기, 삼 째기, 실 삼기, 삼 띄우기, 베 날기, 베매기, 베 짜기 등을 거쳐야 한다. 모시는 재배, 수확하기, 껍질 벗기기, 모시올 쪼개기, 모시 삼기, 모시 날기, 모시 매기, 모시 짜기 등을 거친다. 명주는 누에치기, 실뽑기, 실 내리기, 명주 매기, 명주 짜기 등의 절차를, 무명은 재배, 수확, 씨앗기, 솜타기, 고치 말기, 실잣기, 무명 날기, 무명 매기, 무명 짜기 등의 절차를 거친다. 공동 길쌈은 지방에 따라 또는 길쌈 재료에 따라 조직하는 시기와 규모 등이 달랐으나, 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집단적으로 모여 유쾌한 놀이를 하는 일은 거의 공통적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