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301859
한자 觀瀑臺
영어음역 Gwanpokda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권순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출생 시기/일시 1683년연표보기
저자 사망 시기/일시 1759년연표보기
배경 지역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

[정의]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시인 학고 김이만이 지은 한시.

[개설]

벼슬살이를 제외하고는 인생의 대부분을 충청북도 제천에서 보낸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1683~1759]은 의림지(義林池)를 즐겨 찾아 자신의 마음을 달래곤 하였다. 「관폭대(觀瀑臺)」의림지에서 물이 폭포를 이루어 떨어지는 장관을 보면서 자신의 답답한 심정을 씻어 내기를 바라는 마음을 노래한 작품이다.

[구성]

칠언 절구로, 기구와 승구에서는 가을바람이 불어와 마음이 산란함을 노래하였고, 전구에서는 가슴을 열어 씻어 내기를 노래하였다. 하지만 몇이나 그것을 알아줄까 회의하면서 결구에서는 폭포의 우렁찬 소리를 듣고 있는 모습을 노래하였다.

[내용]

숙상림표부기청(肅爽林飇不氣淸)[쓸쓸한 숲에 회오리바람 부니 기운은 맑지 않고]

단운퇴엽부승정(斷雲堆葉不勝情)[구름 끊이고 낙엽 쌓이니 감정을 이길 수 없네]

탕개흉포지다소(盪開胸抱知多少)[가슴을 열어 씻은들 몇이나 알아주리]

좌청한류만곡성(坐聽寒流萬斛聲)[앉아서 차가운 물줄기 가득한 소리를 듣고 있네]

[특징]

기구, 승구, 결구에 각각 ‘청(淸)’, ‘정(情)’, ‘성(聲)’의 운자를 썼다.

[의의와 평가]

「관폭대」학고 김이만이 자신의 답답한 심정을 폭포의 물줄기를 보면서 노래한 한시로, 작가의 감정 이입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