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0348
한자 六香山內三陟營將功德碑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비
지역 강원도 삼척시 허목길 13-9 [정상동 82] 일원
시대 조선
집필자 이상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육향산 내 삼척영장 공덕비군 - 강원도 삼척시 허목길 13-9[정상동 82] 일원지도보기
성격 공덕비
관련 인물 유완수|장계환|민영위|홍재현|이선재|조존우|정하응

[정의]

강원도 삼척시 허목길 13-9[정상동 82]에 있는 조선시대 삼척포진의 역대 영장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

[개설]

조선시대 삼척포진(三陟浦鎭)의 역대 영장(營將)[조선시대 중앙의 총융청(摠戎廳)·수어청(守禦廳)·진무영 등과 각 도의 감영(監營)·병영(兵營)에 소속되어 지방 군대를 관할, 통솔하기 위하여 설치한 진영(鎭營)의 정3품 당상직 장관(將官)]들의 선정(善政)과 공덕(功德)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다. 현재 5명의 삼척영장 선정비와 2명의 강원도관찰사 선정비 등 모두 7명의 비석이 보존되어 일렬로 세워져 있다.

[위치]

강원도 삼척시 허목길 13-9[정상동 82] 일원의 육향산(六香山)에 위치하고 있다.

[금석문]

1. 영장 유완수 영세불망비(營將 柳完秀 永世不忘碑)

-전면:영장류공완수영세부망비 설포련무 방책심무 조교퇴환 혜택흡유 보청수옥 잔진기소 어호불훤 영세송도 숭정기원후오병술랍월 수(營將柳公完秀永世不忘碑 設砲鍊武 方策深膴 助橋退還 惠澤洽濡 補廳修獄 殘鎭其蘇 於乎不諼 永世頌圖 崇禎紀元后五丙戌臘月 竪)

2. 영장 장계환 영세불망비(營將 張啓煥 永世不忘碑)

-전면:영장장공계환영세부망비 련무수계 흥문교민 어호불현 거사배절 숭정기원후오신사십월 일수(營將張公啓煥永世不忘碑 鍊武修械 興文敎民 於乎不顯 去思倍切 崇禎紀元后五辛巳十月 日竪)

3. 관찰사 민영위 유혜불망비(觀察使 閔泳緯 遺惠不忘碑)

-전면:관찰사민상국영위유혜부망비 유동혜원 유흘사민 진뢰이지 무훤이사 숭정기원후오정축중춘립(觀察使閔相國泳緯遺惠不忘碑 遺銅惠遠 有屹斯珉 鎭賴以支 無諼爾思 崇禎紀元後五丁丑仲春立)

4. 관찰사 홍재현 유혜불망비(觀察使 洪在鉉 遺惠不忘碑)

-전면:관찰사홍상국재현유혜부망비 수목부고 백세유택 잔진점소 일방분우 숭정기원후오경진중춘립(觀察使洪相國在鉉遺惠不忘碑 需木復古 百世遺澤 殘鎭漸蘇 一方分憂 崇禎紀元後五庚辰仲春立)

5. 영장 이선재 영세불망비(營將 李璿載 永世不忘碑)

-전면:영장리공선재영세부망비 리영일재 보폐각청 안무진갑 수습군정 숭정기원후오경인윤이월 일수(營將李公璿載永世不忘碑 涖營一載 補弊各廳 按撫鎭甲 收拾軍丁 崇禎紀元后五庚寅閏二月 日竪)

6. 영장 조존우 청덕선정비(營將 趙存禹 淸德善政碑)

-전면:영장조공존우청덕선정비 위명이정 손금유보 소아잔국 명석불륵 숭정기원오□축윤중춘립(營將趙公存禹淸德善政碑 威明以政 損金有補 蘇我殘局 銘石不泐 崇禎紀元五□丑閏仲春立)

7. 영장 정하응 청덕선정비(營將 鄭夏應 淸德善政碑)

-전면:영장정공하응청덕선정비 위정이혜 □획송□ □명위신 기소□□ 숭정후사임□칠월일립(營將鄭公夏應淸德善政碑 爲政以惠 □劃頌□ □明威信 其蘇□□ 崇禎後四壬□七月日立)

[현황]

1. 영장 유완수 영세불망비(營將 柳完秀 永世不忘碑)[재임 기간:1886~1887년, 건립 연대:1886년, 규모:높이 120.0㎝×너비 38.0㎝×두께 14.0㎝]

비석은 갓돌[관석(冠石)]과 비신(碑身)이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갓돌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다.

2. 영장 장계환 영세불망비(營將 張啓煥 永世不忘碑)[재임 기간:1881년, 건립 연대:1881년, 규모:높이 127.8㎝×너비 37.0~39.0㎝×두께 14.0~14.8㎝]

비석은 갓돌과 비신이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갓돌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다.

3. 관찰사 민영위 유혜불망비(觀察使 閔泳緯 遺惠不忘碑)[재임 기간:1876~1877년, 건립 연대:1877년, 규모:높이 139.0㎝×너비 42.6~41.4㎝×두께 13.0㎝]

비석은 갓돌과 비신이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갓돌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다. 민영위(閔泳緯)[1818~1886]는 조선 후기 문신이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석경(碩經). 원용(元鏞)의 아들이다. 1876년~1877년 강원도관찰사를 지냈다. 1848년(헌종 14) 문과에 급제하여 내외직을 두루 거쳐 이조참판,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후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으로 피란하는 명성황후를 여주 자택으로 피신시키고 보호하였다. 그 후 1883년 예조판서에 임명되었고, 곧 정1품에 서품되었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4. 관찰사 홍재현 유혜불망비(觀察使 洪在鉉 遺惠不忘碑)[재임 기간:1877~1879년, 건립 연대:1880년, 규모:높이 145.5㎝×너비 44.0~46.5㎝×두께 15.0~13.0㎝]

비석은 갓돌과 비신이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갓돌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다. 홍재현(洪在鉉)[1815~?]은 조선 말기 문신이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경옥(景玉)이다. 장섭(章燮)의 아들이며, 명섭(明燮)에게 입양되었다. 1859년(철종 10) 경과증광별시문과(慶科增廣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67년(고종 4) 대사성에 임명된 뒤 예방승지를 거쳐 1875년 이조참판, 1877년 강원도관찰사를 지냈다. 1879년 도총부도총관과 한성부판윤을 겸직한 뒤 같은 해에 형조판서가 되었다. 1881년에 대사헌, 1882년에 예조판서를 지냈다.

5. 영장 이선재 영세불망비(營將 李璿載 永世不忘碑)[재임 기간:1890년, 건립 연대:1890년, 규모:높이 120.0㎝×너비 40.0~40.5㎝×두께 11.0~13.2㎝]

비석은 갓돌과 비신이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갓돌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다.

6. 영장 조존우 청덕선정비(營將 趙存禹 淸德善政碑)[재임 기간:미상, 건립 연대:미상, 규모:높이 117.0㎝×너비 38.0~40.5㎝×두께 12.0㎝]

비석은 갓돌과 비신이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갓돌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다. 조존우(趙存禹)[?~?]는 조선 후기 무관이다. 1884년(고종 21) 부호군(副護軍) 재직 중에 참반무사(參班武士)의 응사(應射)에 입격(入格)하여 품계를 올려 받았다. 1885년(고종 22) 전라도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를 거쳐 1892년(고종 29) 황해도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893년(고종 30) 본영(本營)에 상납할 황해도 병영의 조세가 지연되는 것을 이유로 파출(罷黜)되었다. 1896년(건양 1) 중추원일등의관(中樞院一等議官), 1897년(광무 1) 함경북도관찰사(咸鏡北道觀察使)를 역임했다.

7. 영장 정하응 청덕선정비(營將 鄭夏應 淸德善政碑)[재임 기간:1841~1842년, 건립 연대:1842년, 규모:높이 115.0㎝×너비 36.0~37.5㎝×두께 11.0~13.0㎝]

비석은 갓돌과 비신이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갓돌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다.

[의의와 평가]

육향산 내 삼척영장 공덕비군은 조선시대 삼척영장 및 강원도관찰사 재임 당시 선정을 베푼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역대 삼척영장과 강원도관찰사의 선정 행적을 일부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