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702 |
---|---|
한자 | 休閑農業 |
영어공식명칭 | Short Fallow Cultiv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집필자 | 옥한석 |
[정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경작을 하지 않는 고대적 농경 방식.
[개설]
산간 지역에서 급격한 인구의 유입 등에 의하여 화전이 증가하게 되지만 시비법이 보급되지 못하거나 시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경우 휴경을 할 수밖에 없다. 해발 고도가 높은 한랭한 고산지대에 적합한 화전 작물은 귀리, 감자, 옥수수 등인데 이들 작물은 공중질소고정을 하는 콩 등의 작물보다는 지력을 유지하는 게 어렵다. 그래서 화전농업과 휴한농업이 공존하게 되고 고려시대에는 연작으로서의 불역지지, 1년 휴한으로서의 일역지지, 2년 휴한으로서의 재역지지 등의 3종의 전지가 있다고 기록되고 있다. 일역지지나 재역지지는 1~2년 휴한을 하는 윤작지를 말한다. 이들 밭, 이른바 전지는 제초기술은 발달하였으나 시비법이 원시적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경작지를 말하는 것이다. 휴한 농업은 장기휴경, 단기휴경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토양이 비옥하지 못한 경작지의 경우는 매년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농업기술의 진보와 인구 증가에 의한 인구압이 필수적이다.
[경작방식]
산림을 최초로 벌채하여 불을 지른 후 매년 농사를 짓기는 쉽지 않다. 우기에 자란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축력을 이용하여 땅을 갈아 엎게 되면 휴한농업에 도달하게 된다. 갈아 엎은 잡초가 썩어 시비의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재래식 쟁기, 극젱이, 따비 등의 재래경운기가 출현해야 하므로 축력을 이용한 우경이 502년경 한반도에서 시작하였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미루어 삼척 지역의 산간 지역은 상당히 오랫동안 휴경농업이 지속되었다고 본다. 우경을 하기에는 추운 겨울철 가축의 사료를 마련해 줄 수 있는 농업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삼척 지역의 인구 증가가 필수적이다. 삼척 지역은 인구 증가가 이루지기에는 교통이 불편하고 중앙으로부터의 이주도 어려웠으므로 산간 지역은 오랫동안 휴경농업이 지속되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