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007
한자 日本-高靈-陶磁文化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호동

[고령은 조선시대 도자기 주산지였다]

고령 지역은 고려시대부터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 경상북도 지방을 대표하는 도자기 주산지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기록된 고령현 소속 공장에 소속된 사람들을 보면 야장(冶匠)·시장(矢匠)·피장(皮匠)·목장(木匠)·석장(席匠)·칠장(漆匠)·유구장(油具匠) 각 1명, 지장(紙匠) 3명, 사기장(沙器匠) 6명 등 모두 16명이다. 이 중 도자기를 제조하는 사기장이 6명으로, 경상북도 내 사기장 총수가 11명[군위 2, 봉화 1, 청도 2, 고령 6명]임을 감안하면, 도자기 제조에서 고령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전국적으로 사기장이 6명이나 되는 곳은 고령 지역 외에 전라도의 순천과 부안 두 군데뿐이었다.

이렇듯 도자기 제작소로서 고령 지역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도자기 생산을 위한 여러 요건이 잘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우선 도자기 생산을 위해서는 산림이 울창해서 땔감이 풍부하고, 양질의 도토(陶土)가 많고 운반이 용이해야 하는데, 고령 지역은 이 세 가지를 모두 갖추고 있었다. 특히 도토의 원료가 되는 고령토의 경우 고령 지역을 중심으로 성주와 합천 등지에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었다. 이상의 요건을 구비한 고령 지역에는 운수(雲水)와 성산(星山), 쌍림(雙林), 우곡(牛谷) 등에 요지군이 있고, 여기에 300여 개소의 가마자리가 분포해 있었다.

고령 지역은 특히 자기소가 유명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고령현 토공 조에는 현동 예현리(曳峴里)의 자기를 상품이라 하여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성현(成俔)김종직(金宗直)도 각기 『용재총화(慵齋叢話)』와 『점필재집(佔畢齋集)』을 통해 고령 지역 자기를 크게 자랑하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은 우리의 많은 문화유산을 약탈해 갔다. 그 중에서도 도공은 주 약탈 대상이었다. 당시 일본에서 도자기는 사치품으로 일본의 일부 상류층만 사용하는 정도였다. 때마침 일본에 다도가 유행하면서 고급 찻잔, 특히 조선의 도자기가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됐기 때문에 왜군은 조선에서 닥치는 대로 도자기를 약탈하고 도공들을 잡아 일본으로 끌고 갔다. 이때 일본으로 끌려 간 조선의 도공 수는 대략 400여 명으로 추정되는데, 그들 가운데는 조선의 도자기 주산지였던 고령 지역의 도공들도 잡혀 갔다. 그리고 바로 그들이 향후 일본의 도자기 산업을 꽃피우는 주역으로 등장했던 것이다.

[고령의 도공들은 왜 일본으로 끌려갔을까]

1592년(선조 25) 4월 13일 동래로 상륙한 왜군은 좌·중·우의 세 길로 갈라져 한양을 향해 올라갔다. 이때 경상북도 지방을 장악한 모리 테루모토[毛利輝元]는 개령현에 주둔한 뒤, 같은 해 5월 19일 부장인 무라카미 가케치카[村上景親]로 하여금 무계를 지키게 하였다. 이때 송암(松庵) 김면(金沔) 등이 고령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6월 초 무계전투를 위시해 개산포와 우척현, 정암진, 성주성에서 왜적을 무찔렀지만 고령의 도공 7~8명이 무계전투를 전후한 시기에 포로로 잡혔다.

이들은 왜군이 성주성 전투에서 패배하여 후퇴할 때 가덕도에 끌려 가 감금되었다가 1598년(선조 31) 정유재란 때 일본으로 끌려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왜군은 일본의 도자기 산업을 육성할 계획으로 도공들뿐만 아니라 그 가족들까지 함께 잡아 간 경우도 있다고 전한다. 성산면 낙동강 변의 도진나루터는 당시 고령 지역 도공들이 일가친척과 정든 마을을 떠나면서 생이별한 역사의 현장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덕도에서 패퇴하는 일본군에 의해 끌려간 조선 도공들은 규슈[九州] 지방의 남부 가고시마현[鹿兒島縣]에 있는 쿠시키노 시마비라[串木野島平]에 43명, 이찌기[市來]에 10명, 마에노하마[前之浜]에 약 20명 등이 강제 이송되었다. 성산가(星山家)의 사쓰마야키[薩摩燒], 팔산가(八山家)의 다카도리야끼[高取燒]는 고령에서 붙잡혀 간 도공들이 일본에서 꽃피운 고령 도자 문화이다.

[사쓰마야키는 어떻게 성산가를 일으켰을까]

사쓰마[薩摩]는 일본 규슈 지방 남부의 가고시마현 일대의 옛 이름으로, 사쓰마야키는 사쓰마 산의 도자기라는 뜻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 가 이찌기에 상륙한 도공은 신(申)·김(金)·노(盧) 3성의 남녀 10명이었는데, 그 가운데 고령의 성산(星山) 사부(紗鳧) 요지에서 끌려 간 김해김씨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성산에서 끌려 왔다고 하여 일본 성을 호시야마[星山]라고 하였다. 당시 이곳의 번주[지방 영주]인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가 그에게 츄우지[仲次]라는 이름을 내리고 요지를 축조하게 함으로써 태어난 것이 바로 사쓰마야키다.

도자기를 생산하는 요지군은 당초 지방 영주인 번주의 전용 요장으로 시작했으므로 번주의 거처가 이전할 때마다 요장도 함께 이동하는 시스템이었다. 시마즈 요시히로는 명도공인 김해씨를 주취(主取)라고 하여 책임자로 임명한 뒤 도자기를 만들게 했다. 또한, 다른 지방의 번에 파견하여 새로운 도자기 제조 기술과 유약 종류의 변화 등 색다른 기법을 도입하게 함으로써 요업의 발달을 촉진시켜 사쓰마야끼로 하여금 일본에서도 독특한 요업의 역사를 갖게 하였다. 김해씨, 즉 성산가를 중심으로 시작된 사쓰마야키의 고요지(古窯地)는 50여 개소나 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다데뇨[堅野]계 도요와 나에시로가와[苗代川]계 도요이다.

현재 규슈 가고시마 동북방의 가고시마만 연안에 산재해 있는 다데뇨계 도요의 기원은 우쓰요[宇都窯]로서, 이곳의 번주인 시마즈 요시히로가 도공 김해씨에게 명하여 1601년(선조 34) 7m 정도의 작은 가마를 만들게 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우쓰요는 경사진 암반을 이용한 조선식 단방요(單房窯)로, 지금까지 가마터가 잘 보존되어 있다.

시마즈 요시히로가 거처를 카지끼[加治木]로 옮김에 따라 동행한 김해씨가 새로 개설한 것이 오사도요[御里窯]이다. 하지만 1619년(광해군 11)에 시마즈 요시히로가 죽자 오사도요는 폐쇄되었다. 시마즈 요시히로의 뒤를 이은 번주 시마즈 이에히사[島津家久]는 다시 가고시마로 거처를 옮긴 후 1620년 7월에 김해씨를 불러 다데노 히야마즈[堅野冷水]에 다데노요[堅野窯]를 열게 하였다.

김해씨는 함께 끌려 온 신주석(申主碩)[귀화명 전원우조(田原友助)], 신무신(申武信)[귀화명 전원방조(田原方助)]을 추천하여 함께 작업을 했다. 김해씨가 다데노요를 연 지 1년 만에 52세를 일기로 이국땅에서 숨을 거둠에 따라 가업은 아들인 김화(金和)가 계승했고, 그 자손들인 김풍(金豊)[3대]-김방(金方)[4대]-김치(金致)[5대] 등에 의해 발전해 갔다.

당시 일본의 번주층과 영민은 신분적 차이가 엄격해서 식기류를 사용하는데도 백색 계통은 번주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일반민은 절대 사용할 수 없었다. 당시 사쓰마야키는 번주 전용으로 백색 계통의 우아한 도자기를 만들어 특별한 취급을 받았다.

가고시마 번주인 시마즈에게 끌려 간 조선 도공 중 일부는 쿠시키노 시마비라에 상륙하여 1599년(선조 32) 쿠시키노요를 개설하였다. 쿠시키노요는 조선식의 일상용인 흑색 잡요(雜窯)를 만들어 내는 민요였다. 그들은 1603년(선조 36) 쿠시키노요를 폐쇄하고 나에시로가와[苗代川]로 이주한 뒤 박평의(朴平意)를 중심으로 나에시로가와에서는 최초의 가마인 모토야시키요[元屋敷窯]를 만들었다.

시마즈 번주는 1604년(선조 37) 조선 도공들에게 가옥과 전답을 주고 박평의에게는 녹봉과 일본식 이름을 주는 등, 조선에서 데려온 도공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시작했다. 1669년(현종 10)에는 가고시마에 거주하던 25가구의 도공들을 나에시로가와로 이주시키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나에시로가와가 번주의 직할지가 되고 제도업이 직할 사업으로 지정되자, 조선 도공들은 돌아갈 수 없는 고국산천을 그리워하며 단군을 모신 옥산신사(玉山神社)를 건립했고, 메이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상투를 틀고 한복 차림으로 지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5~6호 정도가 조상의 유업인 도자기 업을 계승하고 있을 뿐이고, 행정구역도 가고시마현 이치키군[日置郡] 미야마[美山]라고 고쳐졌다.

[다카도리야끼는 어떻게 팔산가를 일으켰나]

팔산(八山)은 임진왜란 후 왜장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에 의해 포로로 끌려 가 일본 다카도리야끼의 시조가 된 고령 출신의 도공이다. 팔산은 왜군의 포로가 되기 전엔 고령군 운수면 팔산에서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현재 규슈의 후쿠오카현 아시쿠라[朝倉]에 있는 다카도리가의 고문서에는 팔산이 포로가 되어 성산의 김해씨 등과 같이 일본에 끌려 온 일과, 가마를 만든 이후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어 당시의 행적을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다. 다카도리가의 고문서에도 “호를 팔산이라 하는 팔산 부부와 아들 한 명을 데리고 갔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일본의 도자기 산업을 육성시킬 목적으로 가족을 동반케 하고, 그들을 후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팔산은 1600년(선조 33) 치쿠젠국[筑前國] 쿠라테군[鞍手郡] 다카도리산[鷹取山][또는 高取山) 서록에 있는 영만사(永滿寺)에서 도자기를 빚기 시작하였다. 구로다 나가마사는 팔산을 다카도리 하치조[高取八藏]라 부르게 했다. 팔산은 도쿠가와[德川] 막부에 다입(茶入)[찻잎 보관용 항아리]을 바치고 격찬을 받았는데, 당시 350석의 식록을 받으며 관작까지 내려 받는 등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고 한다. 이는 그가 얼마나 뛰어난 명도공인가를 말해 주는 일화라고 하겠다.

1614년(광해군 6) 쿠라테군 우찌이소[內磯]로 옮겨 살던 팔산은 1624년(인조 1) 큰아들이 병사하자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번주인 구로다 나가마사에게 귀국을 간청하다 식록을 몰수당하고 야마다시[山田市] 가라후토고쿠[唐人谷]로 유배되었다. 팔산은 그곳에서 생계를 위해 민간용 도자기를 만들며 6년을 보냈다.

1630년(인조 8) 구로다 번주는 팔산을 다시 불러 번주 전용의 도자기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그곳에서 그는 일본 다도의 대가 고보리엔슈[小堀掘遠州]로부터 지도를 받았는데, 이후 그가 만든 제품은 ‘엔슈다카도리[遠州高取]’라 하여 높이 평가되면서 다카도리야키라 통칭하게 되었다. 처음 개요지가 다카도리산이어서 ‘다카도리야끼’라고 했는데, 다카의 ‘응(鷹)’ 자를 ‘고(高)’ 자로 바꾼 것은 팔산이 고려인이라 하여 붙이게 된 것이다. 당시 팔산이 만든 제품은 다완(茶碗) 1개가 백미 1만 석에 해당할 만큼 고가품으로 취급되었다고 전한다.

1654년(효종 5) 팔산이 죽자 아들 정명(貞明)이 부업을 계승하여 1665년 후쿠오카현 아사쿠라군[朝倉郡] 고이시하라고[小石原鼓]로 요장을 옮겼다. 이후 팔산가 3세인 하치조우[八之承]가 다시 신사라야마[新皿山]에서 요장을 연 이래 1867년(고종 4) 도쿠가와 막부가 무너질 때까지 202년간 구로다번요[黑田藩窯]를 지속하였다. 1867년 번(藩) 제도가 사라졌을 때 9세인 세이지로[淸次郞]가 한때 가마를 부수고 도자기 생산을 잠시 중단하기도 했으나, 얼마 후 다시 가마를 만들었다고 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하기도 했지만, 다카도리 세이잔[高取靜山]은 다카도리 종가의 맥을 잇기 위해 가마를 정비하고, 큰아들 미치오[道雄]에게 가업을 넘겨주었다. 현재 다카도리야끼는 한 번에 3천 개씩, 1년에 여섯 번 도자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미국 등 세계 시장에 수출하고 있다.

1987년에 사망한 다카도리 세이잔은 생전에 선조의 고향을 찾는 일이 소원이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그녀는 1976년 큰아들 미치오와 함께 고령군 운수면 팔산리를 찾아서 선조의 요지를 발견하고, 백자와 청자 등의 파편을 찾아내 그 빛깔이 팔산이 규슈에서 만든 백자, 청자의 빛깔과 동일한 것을 확인했다고 전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