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0069 |
---|---|
영어음역 | Nokdaesan |
영어의미역 | Nokdaesan Mountain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산주리|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묘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산주리와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묘산면에 걸쳐 있는 산.
녹대산을 구성하는 기반암은 고령화강암이다. 고령화강암은 선캄브리아기의 지층이 관입하고 경상계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으므로 캄브리아기 이후 백악기 이전에 형성된 관입암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정확한 형성 시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일부 학자는 중생대 쥐라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암석의 성질은 불국사화강암과 비슷하게 심층풍화를 크게 받지 않았다.
녹대산의 남쪽에는 만대산(萬代山)[688.7m]이 위치하고, 만대산과 녹대산 사이에는 매화재[530m]가 있다. 녹대산의 남동쪽으로는 노태산(魯泰山)[498m]과 연결되어 있으며, 크게 소학산(巣鶴山)[489.1m]-노구산-솜등산-시리봉-노태산-만대산-녹대산을 잇는 능선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경계로 안림천의 남쪽 분수계에 해당된다. 녹대산의 북쪽에는 가야산에서 발원한 묘산천이 석사교 부근에서 가야천과 합류하여 안림천을 형성하고 있다.
높이는 506m이다. 녹대산의 북쪽에는 합천군 야로면 덕암리가 위치하며, 남쪽에는 고령군 쌍림면 산주리가 위치하고 있다. 산의 제일 높은 봉우리에서 남서 방향으로 약 1,400m 떨어진 곳인 만대산 사이에는 매화재가 있다. 매화재는 과거에 고령군 쌍림면 산주리와 신촌리 지역 사람들이 합천을 오가던 교통로의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등산로로만 이용되고 있다. 녹대산 일대에는 주로 고령군의 석사교-녹대산-만대산-노태산-자릿재-큰재를 잇는 등산로가 형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