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
-
개항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의병으로 활동한 서상렬의 문집. 서상렬(徐相烈)[1854~1896]은 충청북도 제천의 을미의병 기병 시 군사로 추대되어 장회 전투를 지휘했고, 유인석의 호좌의진(湖左義陣)에서는 영남소토사를 맡았던 인물이다. 장담의 강학을 이끌던 인물로 유학 및 선비의 실천에 대한 많은 글을 남겼다. 서상렬은 의병 부대를 이끌고 간도를 향하여 북진하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청풍부사 김수증의 문집. 김수증(金壽增)[1624~1701]의 본관은 안동이며, 호는 곡운(谷雲), 자는 연지(延之)이다. 할아버지는 김상헌(金尙憲)이다. 성리학에 심취하여 북송의 성리학자들과 주자의 성리서를 탐독하였다. 김수증의 조카인 김창흡(金昌翕)이 편차를 정하고 서문을 쓴 초고를 손자인 김치겸(金致謙)이 경상도관찰사...
-
조선 후기에 간행된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원호의 문집. 원호(元昊)의 본관은 원주이며, 호는 무항(霧巷)·관란(觀瀾), 자는 자허(子虛)이다. 충청북도 제천에 관란정을 짓고 단종을 그리는 등 충절을 지킨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원호가 계유정란 당시 자신의 글을 모두 없앤 것을 후손들이 애석하게 여겨 흩어진 글을 모아 『관란선생유고(觀瀾先生遺稿)』를 펴...
-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 유제항의 문집. 유제항(柳濟恒)[1892~1973]은 마지막 화서학파의 문인이다. 『극와사고(克窩私稿)』는 유제항의 후손인 유연수(柳然壽)와 유남균(柳南均)에 의해 1999년 충청북도 제천의 대유출판사에서 영인 출판되었다. 1책 필사본으로 시와 화서학파 인물들의 행장과 서간문을 수록하고 있다. 서간문이나 비지문에는 충주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김창협의 문집. 김창협(金昌協)[1651~1708]의 본관은 안동이며,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삼주(三洲)이다. 문학과 유학의 대가로 이름이 높았으며 호론(湖論)을 지지하였다. 『농암집(農巖集)』 원집 34권은 김창협이 죽은 다음해인 1709년 김시좌(金時佐), 어유봉(魚有鳳) 등이 유문(遺文)을 모은 것...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김해일의 문집. 김해일(金海一)[1640~1691]의 본관은 예안이며, 자는 종백(宗伯), 호는 단곡(檀谷)이다. 아버지는 김단(金鍴)이며, 아들은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이다.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중앙 정계에서 물러난 1680년 겨울부터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복귀하기 전까지 제천의 경치에 매료되어 10여 년간...
-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독립 운동가 이용태의 문집. 이용태(李容兌)[1890~1964]의 호는 단암(檀庵)이다. 독립운동의 뜻을 품고 1939년 만주로 망명하여 대종교에 입교하였으며, 제천에서 대종교 운동을 벌였다. 이용태의 문집인 『단암이용태선생문고(檀庵李容兌先生文稿)』에는 대종교 관련 글과 논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용태의 아들 이영재(李榮載...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서 간행된 이의건의 문집. 이의건(李義健)[1533~1621]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의중(宜中), 호는 동은(峒隱)이다.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배천군수 이한(李漢)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좌랑(工曹佐郞)이 되고 공조정랑(工...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이해조의 문집. 이해조(李海朝)[1660~1711]의 본관은 연안이며, 자는 자동(子東), 호는 명암(鳴巖)이다. 1702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로 급제하고 응교(應敎)·부교리(副校理)·집의(執義)·대제학(大提學)·수원부사 등을 거쳐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시문에 뛰어나 김창흡(金昌翕)에게 천재라는 격찬을 받았다....
-
충청북도 제천 호좌의진에 참여했던 이기진의 문집. 이기진(李起振)[1869~1908]의 본관은 전주이며, 호는 한여(翰汝)·효백(孝伯)·명와(明窩)이다. 이기진은 충청북도 충주 출신으로 을미사변 이후 1895년 12월 유인석(柳麟錫)이 제천에서 일으킨 호좌의진(湖左義陣)에 참여하였다.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명와집(明窩集)』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이시발의 문집. 이시발(李時發)[1569~1626]의 본관은 경주이며, 호는 벽오(碧梧)·후영어은(後潁漁隱), 자는 양구(養久)이다. 1596년 충청도 홍산에서 이몽학(李夢鶴)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하였다. 임진왜란 때 제천의 덕주산성에서 활약하였다. 『벽오유고(碧梧遺稿)』는 현재 몇몇의 필사본이 전하고 있는...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서 간행된 김류의 문집. 김류(金瑬)[1571~1648]의 본관은 순천이며, 자는 관옥(冠玉), 호는 북저(北渚)이다. 인조반정의 주역이며 공신으로 국정을 주도했다. 김류는 수천 편에 달하는 시문을 남겼지만 전란을 거치면서 유실되었고 손자인 김진표(金震標)가 청풍부사로 재직할 당시 김상헌(金尙憲)과 최명길(崔鳴吉) 등의 산정을 거...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제천현감을 지낸 김홍민의 문집. 김홍민(金弘敏)[1540~1594]의 본관은 상주이며, 자는 임보(任父)이며 호는 사담(沙潭)이다. 선조(宣祖) 때에 제천현감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했다. 후에 도승지(都承旨)에 증직되었다. 『사담선생집(沙潭先生集)』은 김홍민의 후손인 김원철(金元喆)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2권...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인 강유의 문집. 강유(姜瑜)[1597~1668]의 본관은 진주이며, 자는 공헌(公獻), 호는 상곡(商谷)이다. 충청북도 제천 두학 출신이다. 강천민(姜天民)의 아들이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제천의 남당서원에 배향되었다. 『상곡집(商谷集)』은 목판본과 필사본 두 가지가 있다. 목판본은 6세손 강필건(姜弼健)·강필기(姜弼...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청풍부사를 역임한 오도일의 문집. 오도일(吳道一)[1645~1703]의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자는 관지(貫之), 호는 서파(西坡)이다. 영의정 오윤겸(吳允謙)의 손자이다. 1689년 청풍부사가 되었으며, 부사 재직 시인 1690년 청풍의 읍지인 『청풍지(淸風誌)』를 편찬했으며, 부사 집무처인 명월정(明月亭)을 세웠다. 울산의 고산서원(孤山...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청풍군수를 역임한 강백년의 문집. 강백년(姜栢年)[1603~1681]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숙구(叔久), 호는 설봉(雪峯)·한계(閒溪)·청월헌(聽月軒)이다. 좌의정에 추증된 강주(姜籒)의 아들이며, 김응서(金應瑞)의 외손자이다. 청풍군수를 역임하였다. 강백년이 생전에 대체로 정리해 두었던 것에 부록을 합부하여 1690년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유중교의 문집. 유중교(柳重敎)[1832~1893]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자는 치정(穉程), 호는 성재(省齋), 초명은 맹교(孟敎)이다. 진사 유구의 아들이며,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이다. 고산(高山)의 삼현서원(三賢書院)과 제천의 자양영당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1889년 유중교는 후진 양성을 위해 지금의...
-
개항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정해문의 문집. 정해문(鄭海文)[1888~1946]의 본관은 영일이며, 자는 윤명(允命), 호는 소당(小堂)이다. 충청북도 충주 출신이며 습재(習齋) 이소응(李昭應)에게 수학하였다. 1974년 문인이었던 오완근(吳浣根) 등이 중심이 되어 출판하였다. 『소당집(小堂集)』은 석인본으로, 5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1...
-
개항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호좌의진 의병 대장 유인석의 의병 활동 관련 자료를 모은 책. 유인석(柳麟錫)[1842~1915]의 본관은 고흥이며, 자는 여성(汝聖), 호는 의암(毅庵)이다. 강원도 춘천시 남면 가정리 출신이다. 유중곤(柳重坤)의 아들이며 유중선(柳重善)에게 입양되었다. 14살 때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에게 수학하였으며, 그 뒤 김평묵(金平默)·유...
-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이자 의병장인 정운경의 문집. 정운경(鄭雲慶)[1861~1908]의 본관은 영일, 자는 화유(和有), 호는 송운(松雲)이다.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에서 태어났으며, 의병을 일으켜 활동하였다. 1977년 건국 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정운경이 남긴 많은 문적이 소실되었으나 후에 종손인 정원태(鄭元泰)가 수습하여 197...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의병 이배인의 문집. 이배인(李培仁)[1873~1945]의 본관은 전주, 자는 학연(學淵), 호는 술헌(述軒)이다. 강원도 춘천군 남산면에서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습재(習齋) 이소응(李昭應)이다. 이배인의 글은 여러 곳을 유리하면서 산실(散失)되었으나 후에 아들인 이문백(李文白)이 선친의 원고를 수습하여 1971년...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한말 문인이자 의병장인 이소응의 문집. 이소응(李昭應)[1852~1930]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경기(敬器), 호는 습재(習齋)이다. 일명 의신(宜愼), 직신(直愼)이라고도 하였다. 춘천시 남산면에서 태어났다. 김평묵(金平默), 유중교(柳重敎), 유인석(柳麟錫)을 스승으로 받들었다. 호좌의진의 의병장으로 활동하다가 중국 만주로 망명...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 오상렴의 문집. 오상렴(吳尙濂)[1680~1707]의 본관은 동복(同福)이며, 자는 유청(幼淸), 호는 연초재(燕超齋)·택남(澤南)이다. 아버지는 판관을 역임했던 오시적(吳始績)이며, 외조부는 윤매(尹梅)이다. 『연초재유고(燕超齋遺稿)』는 1745년(영조 21) 오상렴의 생질인 이익정(李益炡)이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하였...
-
충청북도 제천 의병에 참가한 의병장 장충식의 문집. 장충식(張忠植)[1836~1901]의 본관은 인동이며, 자는 사이(事以), 호는 열은(洌隱)이다. 충청북도 단양 출신으로, 이필희(李弼熙)와 유인석(柳麟錫)의 호좌의진에 참여하였다. 1992년 건국 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후손에 전해 오던 장충식 관련 문건들을 모두 모아서 1982년에 『열은공행장급문집(洌...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권섭의 문집. 권섭(權燮)[1671~1759]의 본관은 안동이며, 자는 조원(調元), 호는 옥소(玉所)·백월(百越)이다. 본래 한양에 거주하다가 정치에 환멸을 느껴 1714년 당시 큰아버지 권상하(權尙夏)가 있는 청풍 황강리로 낙향하였고, 말년에는 제천 봉양에 거주하였다. 여기에서 권상하의 학풍을 시풍으로 계승하였다. 산수 유람과...
-
충청북도 제천에서 의병을 재건하여 정미의병을 이끈 의병장 이강년의 문집. 이강년(李康秊)[1858~1908]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낙인(樂仁·樂寅), 호는 운강(雲岡)이다. 문경군 가은면[현 문경시 가은읍] 출신이다. 아버지는 이기태(李起台)이다. 을미사변 때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켜 문경·조령 등지에서 활약했다. 1962년 건국 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충청북도 제천에서 의병을 재건하여 정미의병을 이끈 의병장 이강년의 문집. 이강년(李康秊)[1858~1908]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낙인(樂仁·樂寅), 호는 운강(雲岡)이다. 문경군 가은면[현 문경시 가은읍] 출신이다. 아버지는 이기태(李起台)이다. 을미사변 때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켜 문경·조령 등지에서 활약했다. 1962년 건국 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청풍 군수를 역임한 이현석의 문집. 이현석(李玄錫)[1647~1703]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하서(夏瑞), 호는 유재(游齋)이다. 관직에 있는 동안 군학(君學)과 시무(時務)에 관한 여러 소장(疏章)과 저서를 제진(製進)하였다. 탕평책과 중농 정책을 건의하였으며, 경연강의(經筵講義) 교재의 개편을 진언하였다. 『유재선생집(游齋先...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박세화의 문집. 박세화(朴世和)[1834~1910]의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연길(年吉), 호는 의당(毅堂)이다. 아버지는 박기숙(朴紀淑)이다. 함경남도 고원군 남흥리 출신으로 위정척사(衛正斥邪) 계열의 학문을 견지했다. 충청북도 음성의 충룡사(忠龍祠)와 제천의 용하영당(用夏影堂)[후에 屛山影堂]에 배향되었다. 1962년 건국...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의병장인 유인석의 문집. 유인석(柳麟錫)[1842~1915]의 본관은 고흥이며, 자는 여성(汝聖), 호는 의암(毅庵)이다. 강원도 춘천시 남면 가정리 출신이다. 아버지는 유중곤(柳重坤)이며 유중선(柳重善)에게 입양되었다. 14살 때 화서 이항로(李恒老)에게 수학하였으며, 그 뒤 김평묵·유중교(柳重敎)에게 수학하였다. 1962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 박수검의 문집. 박수검(朴守儉)[1629~1698]의 본관은 의흥(義興)이며, 자는 양백(養伯), 호는 임호(林湖)이다. 아버지는 박경심(朴景諶)이다. 조석윤(趙錫胤)의 문인이며, 뒤에 송시열(宋時烈)을 사사하였다. 만지곡(晩知谷)[지금의 제천시 송학면 무도리] 출신이다. 1812년(순조 12) 현손인 박상순(朴尙淳)·박문순(朴文淳)...
-
한말 제천 의병에 참가하였던 의병장 주용규의 시문집. 주용규(朱庸奎)[1845~1896]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자는 여중(汝中), 호는 입암(立菴)이다. 함경남도 영흥 출신으로, 생부는 주기섭(朱箕燮)이며, 백부인 주종섭(朱宗燮)에게 입양되었다. 1963년에 대통령 표창, 1991년에는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손자인 주윤문(朱允文)이 유고를 수습하여 1931년에 간행...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 유배된 문인 정호의 문집. 정호(鄭澔)[1648~1736]의 본관은 영일(迎日)이며, 자는 중순(仲淳), 호는 장암(丈巖)이다. 정철(鄭澈)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감찰 정경연(鄭慶演)이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아들 정희하(鄭羲河)가 편집하여 종손인 안동부사 정실(鄭實)이 1756년 철활자로 간행하였다. 1995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청풍 부사를 역임한 이단상의 문집. 이단상(李端相)[1628~1669]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유능(幼能), 호는 정관재(靜觀齋)·서호(西湖)이다.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정구(李廷龜)이며, 아버지는 대제학 이명한(李明漢)이다. 아들은 이희조(李喜朝)이다. 1661년 청풍 부사가 되었다. 아들 이희조의 편집과 문인 함경도 관찰사 윤지선(...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여성 문인 강정일당의 문집. 강정일당(姜靜一堂)[1772~183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호는 정일당(靜一堂)이다. 충청북도 제천군 근우면 신촌(新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강재수(姜在洙)이며, 남편은 윤광연(尹光演)이다. 남편 윤광연이 유문을 편집하여 1836년(헌종 2)에 간행하였으며, 그 뒤 1926년 김석곤(金晳坤)에 의해...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의병장 장익환의 문집. 장익환(張益煥)[1866~1937]의 본관은 인동이며, 자는 수겸(受謙), 호는 중재(中齋)이다. 아버지는 장충식(張忠植)이다. 유인석(柳麟錫), 정운경(鄭雲慶), 이강년(李康秊) 의병 부대에 참여하였다. 1990년 건국 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후손가에 전해 오던 관련 문건들을 모두 모아서 1982년...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사곡리 병산영당에 배향된 문인 신현국의 문집. 신현국(申鉉國)[1869~194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사현(士賢), 호는 직당(直堂)이다. 아버지는 신만균(申萬均)이며, 외할아버지는 이직서(李稷緖)이다. 충청북도 제천의 병산영당에 배향되었다. 1950년대에 석인하였으며, 2002년에 내제문화연구회에서 영인하였다....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의병인 유제함의 문집. 유제함(柳濟咸)[1884~1960]의 본관은 고흥이며, 자는 사형(士亨), 호는 직와(直窩)이다. 생부는 유의석이며, 유인석(柳麟錫)의 양자가 되었다. 술헌 이배인과 회당 박정수에게서 수학하였다. 1990년 국민 훈장이 추서되었다. 필사본으로 남아 있던 것을 1999년 유연수(柳然壽), 유남균(柳南均)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청풍 부사를 역임한 이기홍의 문집. 이기홍(李箕洪)[1641~1708]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여구(汝九), 호는 직재(直齋), 초명은 기주(箕疇)이다. 아버지는 부사과(副司果) 이숙(李塾)이며, 외할아버지는 군수 송현(宋鉉)이다. 이지렴(李之濂)·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887년(고종 24) 이기홍의 7세손 이승근(李承根)이...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의병장 김태원의 문집. 김태원(金泰元)[1863~1932]의 본관은 해풍이며, 자는 춘백(春伯), 호는 집의당(集義堂)이다. 1993년 건국 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남아 있던 유문을 아들인 김성모(金性模)가 중심이 되어 편집하였으며, 성책된 문집은 『한말의병자료집』[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9]에 영인되었다....
-
충청북도 제천에서 간행된 조선 전기 문인 이춘영의 문집. 이춘영(李春英)[1563~1606]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실지(實之), 호는 체소재(體素齋)이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아들 이시재(李時材)가 집에 소장했던 유문을 편집하고 1626년 신흠(申欽)이 교정을 보고 또 서문을 써서 간행을 준비했으나 간행하지 못하였다. 그 뒤...
-
충청북도 제천에서 간행된 조선 후기 문인 정양의 문집. 정양(鄭瀁)[1600~1668]의 본관은 영일(迎日)이며, 자는 안숙(晏叔), 호는 부익자(孚翼子)·포옹(抱翁)이다. 할아버지는 정철(鄭澈)이며, 아버지는 강릉부사 정종명(鄭宗溟)이다. 초시(初諡)는 정절(貞節)이었으나 뒤에 문절(文節)로 개시되었다. 정양은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에 은거하였는데, 이후 후손...
-
충청북도 제천에서 간행된 조선 전기 문인 김종필의 시문집. 김종필(金終弼)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며, 자는 해중(諧仲), 호는 풍암(楓巖)·풍담(楓潭)이다. 아버지는 김육의 6대조인 태상공(太常公) 김질(金耋)이다.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李氏)로 순성군(順城君) 이개(李𧪚))의 딸이다. 방손인 김육(金堉)이 숙부 집에 가장되어 있던 시집을 발견하여 안변 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김시양의 문집. 김시양(金時讓)[1581~1643]의 본관은 안동이며, 자는 자중(子中), 호는 하담(荷潭), 초명은 시언(時言)이다. 아버지는 비안현감 김인갑(金仁甲)이다. 이대수(李大遂)의 사위로 혼인 후 제천으로 이거했다. 1636년 청백리에 뽑혔으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가 되었으나 사직하고 향리인 충주 가금면 하담리로...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약한 문인이자 의병장인 안승우의 문집. 안승우(安承禹)[1865~1896]의 본관은 순흥(順興)이며, 자는 계현(啓賢), 호는 하사(下沙, 夏史)이다. 아버지는 안종응(安鍾應)[1845~1906]이다. 화서연원의 유중교(柳重敎)에게서 수학하였다. 제천 의병에 참가하여 을미사변 때 중군장을 역임하였다. 1962년에 건국 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 김이만의 문집. 김이만(金履萬)[1683~1758]의 본관은 예안(禮安)이며, 자는 중수(仲綏), 호는 학고(鶴皐)이다. 아버지는 경주부윤 김해일(金海一)이다. 목판 간행본을 1994년 후손가에서 단계 김해일의 『단계집』 등과 합하여 『예안김씨예천파문집』으로 영인하였다. 또 다른 김이만의 저작으로, 규장각에 소장된 필사본 10책의 『...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의병인 신광묵의 문집. 신광묵(辛光黙)[1872~1949]은 충청북도 단양에서 태어났다. 1896년 을미의병 때 유인석(柳麟錫) 의진에 참여하였으며, 1907년 정미의병 때는 이강년(李康秊) 의진에 참여하여 항일 운동을 벌였다. 1997년 항일 투쟁에 기여한 공로로 건국 포장이 추서되었다. 아들인 신재윤(辛在允)이 유고를 모아...
-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 김휘두의 문집. 김휘두(金輝斗)[1831~1907]의 본관은 예안(禮安)이며, 자는 공칠(公七), 호는 학음(鶴陰)이다.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의 6세손이다. 1984년 사종손(四從孫)인 김창진(金昌鎭)이 시문과 관서 기행을 엮어 편집하였다. 『학음선생유집(鶴陰先生遺集)』은 1책의 필사본이다. 내용은 학음선생유집서문(...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 권상하의 문집. 권상하(權尙夏)[1641~1721]의 본관은 안동이며, 자는 치도(致道), 호는 수암(遂菴)·한수재(寒水齋)이다. 아버지는 집의 권격(權格)이며, 외할아버지는 이초로(李楚老)이다. 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청풍의 황강서원, 충주의 누암서원(樓巖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저...
-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문인이자 의병인 이정규의 문집. 이정규(李正奎)[1865~1945]의 본관은 평창이며, 자는 치심(致心), 호는 옥산(玉山)·항재(恒齋)이다. 충청북도 제천 출신으로 1895년 이래 유인석(柳麟錫) 휘하에 종군하였다. 1977년 건국 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제자인 김인수(金麟洙), 김용숙(金容肅) 부자가 정리한 유고를 중심으로 편찬되었...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문인이자 의병인 윤응선의 문집. 윤응선(尹膺善)[1854~1924]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군서(君瑞), 호는 회당(晦堂)이다. 아버지는 윤교명(尹敎明)이며, 외할아버지는 신각모(申慤模)이다. 본래 경기도 양평 출신인데, 병인양요 이후 청풍 장선으로 이주하였으며 의당 박세화(朴世和)의 문인이 되었다. 단발령 이후 호좌의진에 가...
시문
-
조선 시대 백사 이항복이 충청북도 제천시의 관란정을 보고 지은 한시. 관란정(觀瀾亭)은 충청북도 제천과 강원도 영월의 접경지대인 평창강 절벽 위에 있어 제천에서 쉽게 갈 수 있는 곳이다. 일설에 의하면 1845년(헌종 11)에 조선 초기의 생육신 원호(元昊)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서강 변에 관란정을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관란정(觀瀾亭)」을 보면 백사(白沙) 이항복(李...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시인 학고 김이만이 지은 한시. 벼슬살이를 제외하고는 인생의 대부분을 충청북도 제천에서 보낸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1683~1759]은 의림지(義林池)를 즐겨 찾아 자신의 마음을 달래곤 하였다. 「관폭대(觀瀑臺)」는 의림지에서 물이 폭포를 이루어 떨어지는 장관을 보면서 자신의 답답한 심정을 씻어 내기를 바라는 마음을 노래한 작품이다. 칠언 절구로, 기...
-
박용림(朴用霖)이 제천 구룡마을의 풍경을 노래한 10수의 칠언 절구 한시. 박용림[1873~1954]은 제천 출신의 문인으로, 「구곡가」 형식을 차용해 「구룡구곡(九龍九曲)」를 지은 것으로 보아 화서학파의 일원으로 보인다. 이 시는 제천 구룡마을의 경치를 구곡(九曲)으로 나누어 노래한 것이다. 구곡의 형식을 빌려 경치를 읊은 한시나 시가는 주자(朱子)의 「무이...
-
박용림(朴用霖)이 중국 소상팔경(瀟湘八景)을 본떠 제천 구룡마을 여덟 곳의 경승지를 읊은 한시. 「구룡팔경(九龍八景)」은 「구룡구곡(九龍九曲)」을 지었던 박용림[1873~1954]이 당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구룡마을의 경치를 중국 소상팔경에 맞추어 지은 작품으로 여겨진다. 소상은 중국 후난 성[湖南省] 둥팅 호[洞庭湖]의 남쪽 샤오수이[瀟水]와 샹수이[湘...
-
개항기 유진찬(兪鎭贊), 유진익(兪鎭翊) 형제가 제천 명지동의 가을 경치를 읊은 두 수의 칠언 율시. 유진찬[1866~1947]은 개항기의 유학자로서 1888년(고종 25) 별시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제천 의병이 기병하여 활약했던 1896년(고종 33) 제천군수로 임명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나아가지 않았다. 1929~1943년 경학원 부제학으로 있으면서 한시를 모아...
-
근대 정운호(鄭雲灝)가 제천의 명산인 감악산의 약수탕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정운호[1862~1930]는 정양(鄭瀁)의 11세손으로, 의병장 정운경(鄭雲慶)의 삼종제이다. 향리의 이름 있는 한학자로 월림 정씨의 종손이다. 「금수약수탕(金水藥水蕩)」은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백련사(白蓮寺) 마당에 있는 약수탕을 찬양한 작품으로, 그 샘물이 병자에게 효험이 있음을 노래했...
-
조선 전기 황응규(黃應奎)가 남당서원의 건립을 노래한 오언 절구의 한시. 남당서원은 1570년(선조 3) 사림 정권의 수립과 함께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모시기 위해 건립한 서원으로, 현재의 제천시 영천동 남쪽 못 옆에 세워졌다. 「남당서원(南塘書院)」은 단양군수를 역임한 황응규[1518~1598]가 이황의 제자로서 남당서원을 보고 주자의 백록서원처럼 학풍이 대대로...
-
1570년(선조 3) 충청북도 제천의 남당서원을 건립한 제천현감 김홍민이 지은 한시. 남당서원(南塘書院)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모시는 서원으로서, 1570년 사림 정권의 수립과 함께 당시 제천현감이던 김홍민(金弘敏)[1540~1594]에 의하여 충청북도 제천에서는 처음으로 창건되었다. 제천의 남당못 옆에 세워져 남당서원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남당서원을 창건한 후...
-
조선 전기 단양군수였던 퇴계 이황이 충청북도 청풍의 아름다운 경치를 보고 지은 한시. 1548년(명종 3) 1월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은 단양군수로 부임하여 아름다운 경치를 둘러보고 단양팔경을 선별하기도 하였다. 단양과의 경계선에 있는 청풍도 자주 드나들었는데, 특히 청풍 지역은 빼어난 경치와 더불어 단양 기생인 두향(杜香)과의 인연이 얽혀 있는 곳이기도 하였...
-
개항기 박세화(朴世和)가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에 있는 대판동과 용하계곡의 경치를 읊은 오언 절구의 한시. 의당(毅堂) 박세화[1834~1910]는 본래 충주의 석오(石塢)에서 살다가 1895년 단발령이 내려지자 서책을 들고 산골인 불억이마을로 들어와 살면서 많은 저작 활동을 하였다. 1898년(고종 35) 회당(晦堂) 윤응선(尹膺善), 확재(確齋) 이원우(李元雨)와 함께...
-
조선 후기 권상하(權尙夏)가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에 있는 덕주사의 풍경을 읊은 오언 율시의 한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덕주사는 월악산 아래에 있는데 전해 오는 이야기에 덕주공주가 이 절을 창건하여 그 인연으로 덕주사라 한다.”고 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신라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가 신라 사직을 고려 왕건에게 바치는 것에 반대하여 시녀와 같이 월악산 덕주사...
-
조선 후기 정일원(鄭一源)이 제천 도현마을의 정겨운 풍경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정일원[1827~?]은 제천의 명문가인 월림 정씨 후손이다. 관직에 나아간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고향 제천에서 은거하며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도현초적(陶峴草笛)」은 자신이 사는 도현마을의 목가적 풍경을 ‘목동의 풀피리 소리’와 ‘나무꾼의 노랫소리’, ‘시골 다듬이 소리’로 정겹...
-
조선 후기 정양(鄭瀁)이 제천 모현의 정경을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정양[1600~1668]은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제천의 명문가인 월림 정씨의 후예이다. 「모현도중(茅峴途中)」은 작자가 봄날 고향 마을의 정취를 소박하고 정겹게 묘사한 작품이다. 기련에서는 산길의 정경을, 승련에서는 작은 개울에 봄물이 불어난 모습을, 전련에서는 저녁에 모현에 올라가는 자신의 시각을 그...
-
조선 후기 조희룡(趙熙龍)이 4월 초파일 감악산에 있는 백련사의 풍광을 읊은 칠언 배율의 한시. 매수(梅叟) 조희룡[1797~1859]은 조선 후기 중인 출신의 화가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문인이다. 조희룡의 『석우망년록(石友忘年錄)』에 “20년 전 단양을 유람하였다.”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대략 1838년(헌종 4) 무렵 단양을 여행했고, 그 당시 제천에...
-
1944년 정해봉(鄭海鳳)이 금수산에 있는 무암사의 정경을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무암사(霧巖寺)」는 무암사 앞 절벽에 새겨져 있는데, ‘갑신(甲申) 2월 11일 정해봉’이라는 암각의 기록을 보아 정해봉[1888~?]이 56세 되던 1944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무암사」가 오래 전부터 『제천군지』 등에 전하는 것으로 보아 정해봉은 제천 출신의 문인이었을 것으로...
-
근대 정운호(鄭雲灝)가 감악산에 있는 백련사의 경치와 작자의 심정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정운호[1862~1930]는 정양(鄭瀁)의 11세손으로, 의병장 정운경(鄭雲慶)의 삼종제이다. 향리의 이름 있는 한학자로 월림 정씨의 종손인 정운호는 금성 월림에서 가까운 백련사에 자주 들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그가 백련사를 소재로 많은 시를 쓴 데서도 알 수 있다. 정...
-
고려 후기 이첨(李詹)이 청풍 한벽루(淸風 寒碧樓)의 풍광을 노래한 칠언 절구의 경물시(景物詩). 호서(湖西)[충청도] 제일의 누각이라 불리는 청풍 한벽루는, 고려 충숙왕 4년인 1317년에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되자, 청풍현 출신 승려이자 왕사인 청공이 이를 기념하기 위해 객사 동쪽에 세운 건물이다. 1406년(태종 6) 군수 정수홍이 중수하고 하륜(河崙)에게 「한벽루기...
-
조선 후기 권상하(權尙夏)가 청풍 한벽루를 노래한 최후량(崔後亮)의 시에 차운하여 지은 칠언 율시의 경물시(景物詩). 평생을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했던 권상하[1641~1721]는 청풍에서 멀지 않은 황강에 살았기 때문에 청풍 한벽루를 자주 찾아 시로 남겼다. 대부분이 당대의 선비들과 주고받은 시들로, 호서 제일의 경치라는 청풍 한벽루에 모여 시회를 열어 서로 화답한 것...
-
1705년(숙종 31) 서문택(徐文澤)이 영춘, 단양, 제천, 청풍의 4군을 유람하고 지은 장편 기행 가사. 서문택[1644~1714]은 청풍부백(淸風府伯)[청풍부사], 제천사군(堤川使君)[제천부사], 강사문(姜斯文)[강씨 성의 학자] 등 일행과 함께 금강산과 설악산을 둘러본 뒤 영춘, 단양, 제천, 청풍의 4군을 6일 동안 유람하고, 그 전모를 기행 가사로 남겼다. 그...
-
조선 후기 권상하(權尙夏)가 청풍에서의 감회를 읊은 오언 율시의 한시. 권상하[1641~1721]는 청풍 지역에 머물면서 평생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제자들을 가르치고 도학자로서 학문에 전념하였다. 하지만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도통을 이은데다 당시 집권 세력인 노론의 정신적 지주로서의 역할 때문에 당대 정치 현실에 대해 무관할 수 없는 입장이었다. 그래서 그의...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금수산에 있는 옥천암의 정경을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데,...
-
개항기 박세화(朴世和)가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에 있는 덕주사의 풍광을 노래한 칠언 절구의 한시. 「숙월악산덕주사(宿月岳山德周寺)」는 월악산 덕주사 주변의 아름다운 풍광과 산사의 한적한 모습을 노래한 작품으로, 개항기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의당(毅堂) 박세화[1834~1910]가 이곳에 몸을 피해 있으면서 쓴 작품이다. 박세화는 1895년(고종 32) 단발령이 내려지자 서책...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에 있는 신륵사의 고탑을 소재로 쓴 칠언 절구의 한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벼슬길로 나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제천 용하계곡에 있는 영운담을 노닐며 그 위에 비친 달의 모습을 노래한 오언 절구의 한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제천 지역에 있는 칠성봉의 유래와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으로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
조선 후기 김창협(金昌協)이 단양팔경의 하나인 옥순봉을 노래한 오언 절구와 오언 율시의 한시. 옥순봉은 봉우리가 죽순처럼 서 있는 모양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단양산수기』에도 언급되어 있다. 여기에 보면, “여러 봉우리가 깎아질러 죽순처럼 섰는데, 높이는 수백 길이 될 만하다. 우뚝 솟아 떠받치는 기둥 같고 그 빛깔은 혹은 비취색이고 혹은 희다. 푸른 넝쿨과...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제천시 덕산면에 있는 용하계곡의 경치를 노래한 오언 절구의 한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제천의 풍토에 대하여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두 수.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데,...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월악산의 모습을 34구로 형상화한 오언 고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데, 이 때문...
-
근대 이목래(李牧來)가 월악산의 풍광을 읊은 두 구의 한시. 이목래[1854~1935]는 제천 지역의 문인이자 개항기부터 일제 강점기에 걸쳐 한학을 공부했던 유학자로 보인다. 「월악산외(月岳山外)」는 월악산의 풍광을 읊은 것으로 원래 칠언 절구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전해지는 것은 두 구밖에 없다. 월악산 봉우리의 모습과 절에서 울리는 종소리를 표현했다. 첫 구는 월악...
-
조선 후기 권상하(權尙夏)가 월악산 서방대의 풍광과 그 속에서 자연을 즐기는 시인의 모습을 노래한 오언 율시의 한시. 권상하[1641~1721]는 자신의 집 근처에 있는 월악산을 자주 찾았고 그곳에서 유유자적하며 소요하기를 즐겨하였다. 「월악서방대(月嶽西方臺)」는 월악산 서방대의 암자에서 고승과 마주 앉아 한가롭게 시간을 보낸 일을 형상화한 것이다. 수련과 함련에서는 월...
-
조선 시대 이재열(李載烈)이 감악산에 있는 백련사에서 노니는 모습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이재열은 제천 지역의 한학자로 추정된다. 생몰 연대나 작품의 창작 시점은 확실치 않다. 「유백련사(遊白蓮寺)」는 제천시 봉양읍에 있는 백련사의 경치와 그윽한 분위기를 묘사한 작품이다. 수련과 함련에서는 백련사의 풍광을 노래하고, 경련에서는 그 그윽한 분위기를 묘사했다. 미련에서...
-
1857년(철종 8) 제천 출신의 문신 임호 박수검을 기리는 의림사(義林祠)를 중건하고 6명의 후손 및 후학이 모여 지은 6편의 한시. 1827년(순조 27) 의림지(義林池)를 즐겨 찾던 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1629~1698]을 기리기 위하여 그 주변에 의림사를 창건하여 제향하였다. 이후 30년 만인 1857년(철종 8)에 의림사를 중수하였는데, 당시의 감회를 6명의 후손...
-
개항기 박세화(朴世和)가 제천시 모산동에 있는 의림지에 대해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제천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했던 의병장이자 학자 의당 박세화[1834~1910]는 일찍부터 화서학파의 유중교와 교유를 가졌다. 1895년(고종 32) 단발령이 내리고 명성왕후가 시해되는 사건이 벌어지자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킬 것을 논의하다 붙잡혀 8개월간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05년...
-
조선 후기 박수검(朴守儉)이 제천시 모산동에 있는 의림지의 한가로운 정경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임호(林湖) 박수검[1629~1699]은 44세 때인 1673년(현종 14) 별시에 합격하고 1675년(숙종 1) 처음 관직에 나아갔다. 이후 중간에 귀양을 가거나 퇴거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기는 하지만 생을 마칠 때까지 줄곧 조정의 부름을 받는다. 이 시기는 바로 사환기...
-
조선 후기 박수검(朴守儉)이 제천시 모산동에 있는 의림지에서 썰매 타는 모습을 그린 칠언 율시의 한시. 임호(林湖) 박수검[1629~1699]은 44세 때인 1673년(현종 14) 별시에 합격하고 1675년(숙종 1) 처음 관직에 나아갔다. 이후 중간에 귀양을 가거나 퇴거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기는 하지만 생을 마칠 때까지 줄곧 조정의 부름을 받는다. 이 시기는 바로 사환...
-
고려 후기 위원개(魏元凱)가 금수산에 있는 정방사(淨芳寺)의 모습을 그린 오언 절구의 한시. 충렬왕 때의 승려인 원감국사 위원개[1226~1292]는 전라남도 장흥 출신으로 충렬왕 때 대선사라는 칭호에 이어 원감국사라는 시호를 받았다. 위원개는 특히 문학적 자질이 뛰어나서 『동문선(東文選)』에 여러 편의 작품이 전하고 있는데, 「정방사(淨芳寺)」는 ‘잡영(雜詠)’이라는...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월악산 용하계곡의 물과 돌들을 보고 쓴 칠언 절구의 한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모습을 「제천제영(堤川題詠)」이란 제목으로 노래한 24수의 한시. 어느 일정한 지역을 노래한 작품을 ‘제영(題詠)’이라고 한다. 제천 지역은 예부터 풍광이 수려해 많은 시인들이 이곳을 소재로 많은 작품을 지었다. 「제천제영」은 이승소(李承召), 서거정(徐居正), 이시발(李時發), 김정하(金鼎夏), 한원진(韓元震), 김지남(金止男) 등이 「제천제영」이라는 동일...
-
개항기 정운호(鄭雲灝)가 제천 지역의 팔경에 대해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제천의 유림들이 「소상팔경」을 본 따서 팔경을 선정했는데, 이는 ‘의림지 낚시하는 늙은이[林湖釣叟]’, ‘백련사 돌아가는 중[蓮寺歸僧]’, ‘대암에 노니는 물고기[帒巖遊魚]’, ‘관란정의 우는 여울[瀾亭鳴灘]’, ‘한벽루의 가을 달[碧樓秋月]’, ‘능강의 봄 돛단배[綾江春帆]’, ‘옥순봉 기암[玉...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제천의 풍토에 대해 읊은 두 수의 칠언 율시 중 첫 번째 작품.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내게...
-
조선 후기 권상하(權尙夏)가 금수산에 있는 정방사의 가을 풍경을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한수재에 머물렀던 권상하[1641~1721]는 제천시 청풍면 부근의 산수를 특히 좋아하고 많이 찾았다. 「조좌정방서루(朝坐正方西樓)」는 정방사에서 하루를 지내고 아침에 붉은 단풍을 본 감격을 노래한 것이다. 주로 청풍에 거주하며 주변을 돌아다녔기에 언제 지어졌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지...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소상팔경」을 본 떠 제천의 평야 지대인 청전(靑田)의 팔경을 노래한 오언 절구의 연작시. 제천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벼슬길로 나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
-
조선 시대 「청풍 한벽루(淸風 寒碧樓)」라는 제목으로 노래한 35편의 한시. 청풍 한벽루는 청풍 관아에 딸린 누각이다. 하지만 이산해(李山海)[1538~1609]의 시에서 “아름다운 경치는 호서 제일이라[形勝湖西第一洲]”고 언급했듯이 호서 제일의 누각으로 수많은 사대부들에 의해 시적 소재로 활용되었다. 특히 남한강 변의 풍광이 빼어난 곳에 위치하고 있어 수많은 시인들이...
-
고려 후기 주열(朱悅)이 청풍 한벽루를 노래한 칠언 절구의 한시. 호서(湖西)[충청도] 제일의 누각이라 불리는 청풍 한벽루는, 고려 충숙왕 4년인 1317년에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되자, 청풍현 출신 승려이자 왕사인 청공이 이를 기념하기 위해 객사 동쪽에 세운 건물이다. 1406년(태종 6) 군수 정수홍이 중수하고 하륜(河崙)에게 「한벽루기」를 받았다. 「한벽루기」에는 “...
-
조선 전기 김양경(金良璥)이 청풍 한벽루의 아름다운 경치를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김양경[?~1484]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예종이 즉위하던 해인 1468년(예종 즉위년) 충청도관찰사에 제수되었는데, 이 무렵 청풍에 들러 호서 제일의 누각이란 한벽루를 보고 이 「청풍경물(淸風景物)」을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강과 산이 어우러진 청풍의 경치는 절경이며, 그 중심에 한...
-
조선 전기 조계상(曺繼商)이 청풍 한벽루를 중심으로 청풍의 경치를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청풍 한벽루는 오래전부터 호서 제일의 누각으로 그 이름을 날려서 많은 시인과 묵객이 찾았다. 그 중에는 특히 벼슬아치들이 많았다. 이는 청풍 한벽루가 청풍 관아에 딸린 누각이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한벽루에서 시회를 즐겼는데, 훈구척신의 일원으로 공조판서를 거쳐 우찬성까지 지낸 조계...
-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 「청풍제영(淸風題詠)」이란 제목으로 지은 5수의 한시. 청풍은 예부터 사대부들이 즐겨 찾을 정도로 경치가 빼어난 곳이었다. 「청풍제영」은 고려 후기 안극인(安克仁)[?~1383]과 정추(鄭樞)[1333~1382], 조선 전기의 정인지(鄭麟趾)[1396~1478]가 청풍의 아름다운 풍광에 대하여 ‘청풍제영’이란 제목으로 2구씩 간단하게 지은 시를 말...
-
1910년 독립운동가 박세화가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에 있는 대미산에 올라 읊은 한시. 박세화(朴世和)[1834~1910]는 구한말 의병을 일으켜 경상북도 문경과 충청북도 제천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나라를 빼앗긴 경술국치에는 자결을 한 우국지사이다. 「추일여제생등대미산(秋日與諸生登大美山)」은 당시 국권이 침탈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그 울분을 노래한...
-
개항기 윤응선(尹噟善)이 월악산의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한 오언 절구의 한시. 회당(晦堂) 윤응선[1854~1924]은 경기도 양평 출신의 성리학자이다. 제천 지역으로 와서 박세화의 제자로 활동하다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청풍에서 향약을 조직하고 도헌으로 추대되었다. 월악산 용하동에서 의거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스승인 박세화가 병이 나는 바람에 중단하였는데, 이...
-
조선 후기와 개항기 이기진(李起振)이 청풍 한벽루 주변의 풍광을 노래한 칠언 절구의 한시. 명와(明窩) 이기진[1869~1908]은 화서학파의 일원으로 유중교(柳重敎), 유인석(柳麟錫)의 문인이었다. 1895년 을미의병이 일어났을 때 종사로 활약하여 의병장 서상렬(徐相烈)의 시신을 제천으로 운송해 오는 일을 하기도 했지만, 병고로 의진에 계속 합류하지 못하고 고향인 충주...
-
조선 후기 김시양(金時讓)이 제천을 지나면서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로 이름이 높은 하담(荷潭) 김시양[1581~1643]은 충청북도 괴산에서 태어났으나 18세 무렵인 1598년(선조 31) 경주 이씨와 결혼하고 제천으로 이주하였다. 그 뒤 과거에 급제하여 홍문관에 들어간 1605년(선조 38)까지 제천에서 거주하였다...
-
조선 후기 조희룡(趙熙龍)이 제천 지역에 머물면서 늦은 봄의 정경과 감회를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세 수. 조희룡[1789~1866]은 만년에 친구들과 같이 풍광이 빼어난 제천, 단양 지역을 찾았다. 그 기록이 『석우망년록(石友忘年錄)』에 보인다. 세 수의 「화산모춘(花山暮春)」은 제천에 머물면서 쓴 시로 추정된다. 첫째 시에서는 병들어 누워 봄날이 허망하게 다 갔음을...
-
조선 후기 김이만(金履萬)이 월악산 용하계곡에 있는 활래담(活來潭)의 모습과 유래를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제천 봉양에서 태어난 학고(鶴皐) 김이만[1683~1758]은 집안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과거에 급제하고도 현달하지 못하고 42세 이후에나 관직에 나아가 무안현감, 양산군수, 서산군수 등 지방의 외직을 전전해야 했다. 결국 그는 벼슬살이보다 고향인 제천에서 생애의...
-
1752년(영조 28) 제천 지역에서 활동한 옥소 권섭이 권상하를 위하여 지은 연시조 「황강구곡가」를 한자로 다듬은 한시. 「황강구곡(黃江九曲)」은 옥소(玉所) 권섭(權燮)[1671~1759]이 백부인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1641~1721]가 후학을 양성하고 학문을 연구하며 살던 제천 한수(寒水) 황강(黃江) 유역을 노래한 작품인 「황강구곡가(黃江九曲歌)」를...
-
1752년(영조 28) 제천 지역에서 활동한 옥소 권섭이 백부인 한수재 권상하를 위하여 지은 연시조. 「황강구곡가(黃江九曲歌)」는 옥소(玉所) 권섭(權燮)[1671~1759]이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1641~1721]가 후학을 양성하고 학문을 연구하며 살았던 제천 한수(寒水) 황강(黃江) 유역을 노래한 작품이다. 한글 구곡체 시조로, 총 10수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 작품
-
충청북도 제천에서 활동한 시인 홍석하의 시집. 홍석하는 1935년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에서 태어나 청주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제천에서 터를 잡고 『제천문학』을 창간하였다. 1980년에 『충청일보』 신춘문예와 1981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한 이후 제천문학회 회장,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예총] 제천 지부장, 한국문인협회 충청북도 부지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
충청북도 제천 출신의 시인 오탁번의 시집. 오탁번(吳鐸蕃)은 1943년 7월 3일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문과 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국문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철이와 아버지」가 당선되었고, 이듬해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순은(純銀)이 빛나는 이 아침에」가 당선되었다....
-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제천문학회가 매년 두 권씩 펴내는 간행물. 창간호는 박지견 시인, 김준현[경암] 시조 시인 등이 주도하였다. 제천 지역 문학인들이 모여 공동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기회를 마련하고자 시작된 『제천문학』은 점차 제천 지역의 문학적 역량을 키우는 데에 일조를 하게 되었다. 아울러 제천문학회에서는 제천 시민들의 문학 작품 창작의 향상과 문...